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막 골인한 신혼부부가 앞으로 백년해로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2009년 미국 수리생물학자 제임스 머레이가 이끄는 연구팀은 부부가 행복하게 함께 살 기간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갓 결혼한 신혼부부 700쌍에게 돈과 사랑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각각 15분간 토론하게 했다.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간의 상호작용을 토대로 미래의 날씨를 예측한다. 2021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 기후학자 마나베 슈쿠로는 1960년대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량이 지표면 온도와 수온을 어떻게 높이는지를 이해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이 모형은 현재 기후 변화를 예측하는 기후 모형 개발의 토대가 됐다 ...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얻어 다시 병에 걸리지 않는 전염병을 연구하는 데 적합하다. 2006년 미국 전염병학자 제라도 초웰은 SIR 모형을 이용해 스페인독감 환자 수를 계산했다. 스페인독감은 1918~1920년에 걸쳐 당시 세계 인구의 2%에 해당하는 약 5000만 명의 목숨을 빼앗은 전염병이다. 위 그래프는 약 5개월 동안 스위스 ...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표준모형 너머의 물리학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이게 전부가 아니다. 인류 역사 내내 과학자들은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모든 현상을 더 근본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계속해서 질문을 던져왔다.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현상 뒤에 숨어있는 자연법칙은 뭘까. 물질을 쪼개고 쪼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 ...
- [Chapter 4] 수학자의 호기심, 별별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만한 일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려고 애쓴다. 일례로 통계학자 제프 엘리스는 영국 심리학자 사이먼 무어와 함께 양말을 잃어버릴 확률을 예측하는 수식을 만들었다. 아침에 양말을 신기 위해 옷장을 열어보면 양말이 꼭 한 짝씩 사라진 상태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계산해보면 손실이 매우 크다.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식립하고, 매식체가 뼈에 고정되면 그 위에 인공치아를 씌우는 방식이죠. 그런데 과학자들은 잇몸에서 제3의 치아가 날 수 있다고 얘기합니다. 치아 재생 유전자 재작동시킬 방법은? 2016년 11월, 가레스 프레져 당시 영국 셰필드대 진화발생생물학과 교수팀은 상어에 있는 이빨 재생 유전자가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조직돼 있습니다. 양적 평가는 세계 최고 수준이에요. 오히려 이런 평가를 완화해서, 과학자들이 더 자유롭고 창의적인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풀어줘야 합니다.” 앞으로의 연구 평가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연구 평가 본연의 목적, ‘더 나은 연구를 도와준다’를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과학으로 옮겨갔고, 우주의 비밀을 파헤치는 일이 너무 멋져 보여서 물리학자, 천문학자를 꿈꿨죠. 수학과 과학 자체에 큰 재능은 없었던 것 같지만 그 과목들은 꽤 재밌었고, 첫 대학도 물리학과에 진학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물리학을 별로 열심히 공부하진 않았어요. 이후 방황하는 시간을 보내며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스티브를 추적하기 시작했습니다. 시민과학자들이 찍은 사진과 위성 자료를 연구해 스티브가 어떻게, 왜 나타나는지를 연구했죠. 연구팀은 전하를 띠는 입자가 위도이상의 지역에서 지구 자기장에 의해 동쪽에서 서쪽으로 빠르게 이동할 때, 뜨거운 열이 발생하면서 ... ...
- 해양오염 지역 밝히는 에르고딕 이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나타났다. 바닷속 탄소량 이대로 증가하면 2100년 대량 멸종 2017년 미국 지구물리학자 다니엘 로스먼은 바닷속 탄소량 변화를 토대로 2100년을 기점으로 공룡 멸종과 같은 대량 멸종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스먼은 먼저 5억 4200만 년 동안 바닷속 탄소량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분석했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