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돌연변이"(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민달래 돌연변이 인가요?탐사기록 l20240330
- ...
- 삼색고양이는 모두 암컷이라고?기사 l20240325
- 수 있지만 유전자가 XY인 수컷은 삼색이 될 수 없는거죠. 3000분의 1 확률로 수컷 삼색고양이가 태어날 수 있는데 유전자가 XXY나 XXXY로 돌연변이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이렇게 3000마리중에 1마리 수컷고양이가 태어나도 불임이라고 합니다 즉 고자인 거죠 삼색고양이가 10000마리 있으면 약 3마리정도만 수컷으로 거의 삼색고양이는 암컷 ...
- 아라마루 아쿠아리움기사 l20240207
- 밑에!! 여기 있어요!! 그냥 철갑상어와 알비노 철갑상어 입니다. 색깔차이가 많이 나네요 알비노는 선천적인 질환으로 주로 유전자 돌연변이로 나타납니다.티로신을 산화시켜 멜라닌으로 만드는 티로시네이즈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일라고 해요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이 친구는 슈빌인데요 모형같으시죠? 그런데 모형이 ...
-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과학상식 Top5기사 l20240119
- 줄까? 과학적인 근거가 없습니다. 오히려 수만 년 전 모든 인간은 O형이었다는데, 성격은 서로 달랐겠죠? (출처- 픽사베이) 그러나 돌연변이에 의해 A형, B형이 생겨난 것입니다. 지금도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경우 95% 이상이 O형이라고 합니다. 그렇다고 그곳 사람들은 전부 성격이 같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혈액형 성격설을 ...
- [챌린지] 다윈의 진화론을 수정시킨 천재과학자가 한국인?!?! 그분은 바로..기사 l20230801
- 염색체, 그리고 9개의 양배추 염색체의 합인 19개라는것도 밝혀내시죠. 그 당시에는 다윈의 진화론에 따라 적자생존의 원리로에서 돌연변이에서 이루어진다는 이론을 새로운 종과, 종종이 만나서 새로운, 또 더욱 새로운 종이 만들어진다는 개념이 발표되어, 진화론적으로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되고, 이제 우장춘박사님께서 발표하신 이 결과가, 이 이론은 이제 ...
- (챌린지) 종자의 비밀을 밝혀내다, 우장춘 박사님.기사 l20230714
- 다른 종 사이의 교잡은 교잡일 뿐이고 새로운 종이 될 수 없다는 그간의 과학계의 정설을 깨트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식물은 돌연변이가 아닌 종간 교잡을 통해서도 새로운 종이 탄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직접 보여줌으로써 결국 '종의 분화는 자연선택의 결과이다.' 였던 다윈의 진화론을 수정 또는 거기서 파생된 우생학을 부정하는 엄청난 파장을 일으 ...
- [챌린지] 우장춘 박사님은 어떤 업적이 있으실까?기사 l20230711
- 다른 종 사이의 교잡은 교잡일 뿐이고 새로운 종이 될 수 없다는 그간의 과학계의 정설을 깨트리는 결과를 낳았으며 식물은 돌연변이가 아닌 종간 교잡을 통해서도 새로운 종이 탄생할 수 있다는 점을 직접 보여줌으로써 결국 '종의 분화는 자연선택의 결과이다.' 였던 다윈의 진화론을 수정 또는 거기서 파생된 우생학을 부정하는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
- 당근은 원래 흰색 이었다는 것을 아시나요?기사 l20230525
- 썼지요. 그래서 사람들은 보라색 당근만 키웠어요.제일 맜있고 모양이 좋은 당근의 씨를 뿌렸어요. 그런데 어떤 당근 식물에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났어요.당근은 이제 주황색이 되었지요. 주황색 당근은 즙이 많고 달콤했어요.그래서 농부들은 주황색 당근만 키우기 시작했어요. 이렇게 해서 지금의 주황색 당근이 된 것이에요.당근 이야기 재미있었 ...
- 쥐와 고양이에 대한 여러 사실들(8/2)기사 l20230423
- 둔해지고 느려지는 것이죠. 그래서 물에 닿는걸 극도로 싫어하는 것입니다. 물론 물을 완전히 싫어하는 것은 아니고 특이체질, 혹은 돌연변이 등이 있긴 합니다. 최근에는 사회에서 물과 서서히 가까워지고 있는 고양이들이 생긴다고 합니다. 오늘은 고양이와 쥐에 대한 우리가 잘 모르고 있었던 사실들을 알아봤습니다. 제 기사를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 ...
- 이브이 계열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30423
- 샤미드는 1세대에 등장한 이브이가 물의 돌을 사용하여 진화한 물타입 포켓몬 입니다.몸무게는 29.0kg로 라이츄랑 비슷하고 돌연변이로 인해 물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느러미가 생겨 났다고 합니다.그리고 몸의 세포 구조가 물과 닮았기 때문에 물에 녹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또 샤미드의 몸 전체 지느러미가 빠르게 움직이면 몇시간 후에 비가 내릴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