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위
별자리
성좌
포치
음운
어운
은하
어린이과학동아
"
성운
"(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챌린지] 초신성은 무엇일까?(1/8개)
기사
l
20230402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Sh2-129
성운
(발광
성운
)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초신성의 마지막. 초 ...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태양의 미래.
기사
l
20230402
태양은 다시 급팽창하며 점근거성 가지에 진입하고 3AU까지 커진다. 이 직후 열맥동으로 한쪽 표면이 대폭발을 일으켜 행성상
성운
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 부분은 중심부로 떨어져 백색왜성이 되고 수조년에 걸쳐서 식게 되고 결국 흑색왜성이 된다 ... ...
별의일생
포스팅
l
20230228
별이 작은경우 :
성운
-원시별-주계열성1-주계열성2-주계열성3-적색거성-백색왜성 (사망)별이 보통인경우 :
성운
-원시별-주계열성1-주계열성2-주계열성3-적색거성-백색왜성(사망)or중성자별(사망)별이 큰경우 :
성운
-원시별-주계열성1-주계열성2-주계열성3-적색초거성-행성상
성운
(사망)or블랙홀(사망)or백색 ...
재미있는 과학동아 천문대!!
기사
l
20230219
볼수 있다고 합니다. 전팀은 금성을 보았다고 하던데 저희는 좀 늦은 시간이라 금성은 관측하지 못하였지만 천체관측관에서 성단과
성운
, 달, 수성, 목성등을 관찰하였습니다. 선생님이 기념으로 천제망원경으로 달 사진을 찍어주셨는데.. 정말 놀랍고 아름다웠습니다. 우리의 태양계에 대해 좀 더 많은 것을 알게되었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천체망원경을 ...
2022년 썰
포스팅
l
20230101
말이 통하겠냐고요... 할신 1번 본애랑 5번 본애랑 누가 더 씹덕이에요? 5번 본애잖아요!!!! 아빡쳐!!!손절 까려고 해도 울엄마가
성운
거 알아서 손절까기가 뭐함...;; 글고 어제(12시 넘었으니깐요)친구 동생이 아역배우여서 kbs 연기대상 갔다는데 이승기봤데요미찐!!!!!!! ...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보여준 우주!
기사
l
20220928
재료가 되는 가스와 먼지가 많은 곳입니다. 이곳에서 별들이 태어나기도 하고, 별들이 죽으면서
성운
을 만들기도 하죠. 용골자리
성운
은 별의 탄생 과정을 아주 잘 보여주는 지역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작은 점들은 모두 새로 태어난 어린 별들의 모습입니다. 상대적으로 밝은 별들은 질량이 큰 별들이죠. 출처: hkmo1 님의 블로그 ...
우리가 쉽게 아는 태양과 행성을 더 파해쳐 보자!!
기사
l
20220423
탄생하는 것처럼 별도 탄생을 합니다. 우주에는 먼지 덩어리가 모여서 마치 구름처럼 보이는
성운
이라는 것이 있어요. 대부분 별은
성운
에서 만들어 진답니다~ 하지만 지구가 여기서 태어났다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보통에는 별과 행성이 같다고 생각하지만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를 별 또는 항성이라고 불러요. 그리고 태양 주위 ...
과학동아 천문대 :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외치다 _ 별과 별자리
기사
l
20220216
별이 탄생하는 곳이에요!
성운
은 성간 물질과 수소 등의 가스로 이루어진 구름이라도 보시면 됩니다. 사진으로는 볼 수 없었지만 저
성운
을 자세하게 들여다 본 결과, 4개의 작은 아기별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답니다! 하지만,, 아기별이라고 해도 몇 만 년, 몇 억 년은 산 별이에요!! 별의 생은 아주 길기 때문이죠.ㅎㅎ 그렇 ...
[과학동아천문대 - 이달의 우주 날씨] 실시간 오리온대
성운
관측회 진행!!
공지사항
l
20220120
여러분 안녕하세요~ 새해가 된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월 말이 되어가네요! 오늘 과학동아천문대에서 특별한 공지사항을 안내드립니다. 이달의 우주날씨가 오리온 대
성운
관측회로 찾아갑니다! 오리온
성운
도 보고 2022년 천문현상도 미리 살펴보아요! 1월 20일 (목) 오후 7시 과학동아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요! ...
별의 생애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210830
이렇게 생긴 별들 중에는 태양만큼 거대한 별도 있고, 태양보다 몇 배는 더 큰 별도 있어요. 태양만한 별은 적색 거성을 거쳐 행성상
성운
으로 변한 뒤 늙은 별인 백색 왜성이 되어 생을 마쳐요. 태양보다 더 거대한 별은 적새 초거서이 되었다가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후 별의 중심부만 남은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되어 생을 마감한다고 해요. 별도 우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