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초소형"(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오롱 one & only 타워 견학기사 l20240726
- 그리고 인공위성의 안테나의 길이에 대해 설명하실 때 “큐브위성에는 안테나가 있나요?”라고 질문을 하였는데, 큐브위성은 초소형 위성이라서 무게도 1kg 정도 밖에 나가지 않고 안테나가 매우 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강연도 끝이 났고 미션이 끝나자 조금 아쉬웠고 에코 롱롱 큐브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지 못하여 아쉬웠습니다. ...
- 초소형 인공위성을 만든 나라 스페이스를 방문하다!기사 l20240721
- 모두 미래로 향하려는 나라스페이스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사진을 찍지는 못했지만, 박재필 대표님 설명을 들으며 저는 실험실에서 초소형인공위성 모형을 구경했습니다. 큐브 모양의 인공위성이 마치 박스 같기도, 레고 블럭들 같기도 해서 신기했습니다. 클린룸에 들어갈 때 입는 위생모와 위생복을 입어보고 다 같이 사진도 찍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지상국 ...
- 날아라 나라 스페이스~ 큐브 인공위성 연구소 견학!기사 l20240708
- 마치고 기념품과 문구류를 챙겨 주셨다. 나라 스페이스를 방문함으로 인해 인공위성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초소형 인공위성을 실제로 실현하신 박재필 대표님을 통해 실패에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는 넓은 마음과 도전의 의미를 배울 수 있었다. 많은 질문에도 성의껏 답변 주신 박대표님께 감사드린다. ...
- 국내 첫 상업용 초소형 지구관측 위성을 개발해 발사에 성공한 나라스페이스를 방문하다!기사 l20240707
-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나라스페이스는 우리나라 초소형 인공위성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나라스페이스는 지난해 11월 국내 첫 상업용 초소형 지구관측 위성인 '옵저버 1A'를 자체 개발해 발사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옵저버 1A는 미국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된 뒤 부산 등 세계 주요 도시를 촬영했고 지금도 지구 저궤도를 ...
- 우주 연구소 '나라스페이스'에 다녀오다!기사 l20240703
- 인공위성과 인공위성의 차이는? 초소형 인공위성이 인공위성과 기술이 조금 다르고 인력, 비용들이 더 든다. 인공위성을 쏘면 초소형 인공위성이 수행하지 못하는 인무를 수행할 수 있긴 하다. 7)가장 인상깊은 책은?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가 기억에 남는다. 우주의 기원을 설명해준다. 8)왜 우주를 연구하셨나 ...
- 우주기자단 나라스페이스 견학기사 l20240702
- 아이디어였습니다! -간단한 회사소개 및 목적 나라스페이스는 현재 큐브위성들을 만드는 기업인데요. 큐브위성은 모두 초소형 인공위성에 속합니다. 여기서 '초소형'의 기준이 무엇일까요? 인공위성도 사람과 같이 체급이 있습니다. 큰 것 부터 나열하면 라지, 미디엄, 미니, 마이크로, 나노순 입니다. 이중 옵저버1A는 '마이크로' ...
- 제 14회 고흥우주항공축제에 가다!기사 l20240510
- 끝에 페어링 분리에 성공해서 누리호에 탑재된 위성이 정해진 궤도에 정상 투입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민간 기업에 기술이전하여 초소형 발사체를 민간 기업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정말 대단하고 멋지지 않나요? 아래 사진은 75톤급 액체로켓 엔진의 목업입니다. 엄청 복잡하게 설계되어 있어 대단하고 신기하였습니다. 축제 ...
- 놀라운 우주 발명품들기사 l20240414
- 2.신발 깔창 신발 밑에 끼우는 납작한 깔창 알지요? 그 깔창은 밀폐된 국제 우주 정거장의 냄새를 없에는 데도 쓰인답니다. 3.초소형 카메라 휴대 전화에 달린 작은 카메라도 사실 우주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1990년대에 만들어졌습니다. 4.무선 헤드폰 우주복을 입을 때는 통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헤드폰을 껴야 하지만 헤드폰의 전선과 케이블 때 ...
- 제주항공우주박물관 방문기기사 l20230530
- 비추는 것입니다. 거기서 10분간 놀다 동생이랑 같이 1시간50분간 놀다 갔어요. 인터 액션에서 나오니까 숫자로 보는 누리호의 역사, 초소형 미니 인공위성 등이 있었어요. 이제 다보고 1층으로 내려갔는데, 체험이 있었어요. 그때는3D펜만 있었는데 3D펜을 신청했어요. 체험을 하는데 자꾸 망해서 약 20분을 날리고 반지를 만들었는데 처음엔 실패했 ...
- 누리호 최고!기사 l20230527
- 제1의 우주발사체, 과학1호의 비해 많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제일 큰 변화는 엔진이 화학 연료가 아니고 엑체 연료라는 점 입니다. 또 초소형 우주 관측 기계 도요샛이 신기합니다. 마지막으로 4차 발사도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대한민국 한국항공우주산업 화이팅입니다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