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항공 사진"(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기자단] 텔레픽스 함선정 이사님의 강연을 듣고기사 l20250528
- 네이버에 허블 딥 필드라고 검색하면 다양한 자료가 나옵니다. 검색해서 사진들을 보면서 우주의 경이로움을 느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작을수록 해상도가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상도가 0.5m인 사진이라면 픽셀 한 개에 0.5m 크기의 물체가 딱 들어맞는 거죠. 위성 탑재체 ... 데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
- 고흥우주항공축제의 현장에 다녀왔습니다!기사 l20250507
- 할 수 있는 이 책을 먼저 읽고 있습니다. 둘째날, 드디어 고흥 우주항공축제장에 도착 하였습니다. 본격적으로 축제를 즐기고 체험을 하려고 ... 많은 것을 알게 되어 뜻깊은 시간 이었습니다. 누리호의 엔진 앞에서 사진 찰칵! (75톤이 무려 4개!!!!) 이것으로 실물전시관 관람은 끝났습니다. ... 온다고 합니다. ...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기사 l20250503
- 있습니다. Q : 무슨 기술을 (대략적으로) 썼어요?A : 항공기를 만드는데 크지만 가벼운 비행기를 만든다고 ... 외쪽 끝에는 광학 카메라가 있는데, 해상도가 30cm (사진의 픽셀의 가로/세로가 30cm) 이기 때문에우주에서 30cm의 ... 나사에서 만든 탑제체를 실고,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섀도우 ...
- 과학축제에서 만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501
- 다녀왔습니다. 그 곳에서 2022년 하반기에 발사했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관리하는 아리랑 7호, 한국형발사체(KSLV ... 향한 노력이 느껴졌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스는 우리나라 우주 발사체 등을 자세히 보고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누리호에서 떨어지 조각들의 정체는?기사 l20250427
- 발사될 때 가루처럼 떨어지는 것입니다. (누리호 3차 발사 장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유튜브) 지난 4월 19일, 저는 우주기자단 2기의 현장미션 참가자로 선발되어 대전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부스에 다녀왔습니다. 기자단은 실제 항우연에서 ... 지금부터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여러 ...
- 우주항공의 어벤져스 멤버가 되고 있는 항우연(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427
- 높이의 개가 자연스럽게 걷고 있는 모습이 정말 제 호기심을 깨웠습니다. 그 중에서도 어린이우주기자단은 항공우주연구원 부스를 방문해서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제일 처음 본 것은 성층권 태양광 무인기 'EAV-4' ... 최초의 달 탐사선으로 '섀도우캠'이라는 광학카메라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섀도우캠은 빛이 없을 때만 사진 ...
- 우주 탐사의 개척자, 항우연을 다녀오다.기사 l20250427
- 다녀왔습니다. 과학기술대전에는 재미있는 부스들이 많았는데요. 저는 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부스에 관한 기사를 쓰려고 합니다. 항우연은 1989년에 설립되었고 현재는 130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다고 합니다. 항우연이 하는 일은 항공기 개발, 인공위성 개발, 우주발사체 개발등이 있다고 합니다. 항우연 ... 아리랑 7호(직접 촬영) ...
- 역대 최고의 점성술사, 노스트라다무스기사 l20250426
- : 나무위키 (노스트라다무스의 사진) 안녕하세요, 오지후 기자입니다! 오랜만에 기사를 쓰는데요, 오늘의 주제는 역대 최고의 점성술사였던 ... 먼저 미국의 테러 사건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9•11 테러를 예언한 걸로 유명합니다. 9•11 테러는 항공기 AA11, UA175, AA77, UA93 등이 당시 세계무역센터 ...
- 과학기술대전 탐방 미션! 우주개발에 대해 알아봅시다!기사 l20250425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스에 전시된 누리호 모형 누리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만들었습니다. 누리호는 벌써 3번이나 발사가 됐는데 ... 를 싣고 우주로 발사됐습니다. 차세대소형위성 2호(NEXTSAT-2)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홈페이지) 여러분들은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을 때보다 인공위성으 ...
- 우주기자단 첫 번째 현장미션: 대한민국 과학축제기사 l20250425
- 이 무인기는 고도 18Km의 매우 추운 성층권에서 비행을 합니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드시 성층권은 구름보다 더 높은 높이로 오존층과 비슷한 높이입니다. 18Km는 굉장히 높은 높이입니다. 여러분, 혹시 인공위성이 빠른지, 총알이 빠른지, 아시나요? 저는 총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