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물성 전분
당원
glycogen
뉴스
"
글리코겐
"(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소 없이 후흡~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10.09
지방산화량이 적다는 것은 지방보다
글리코겐
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많이 낸다는 뜻이다.
글리코겐
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은 지방을 분해할 때와 비교해 같은 양의 산소로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런 차이는 베이스캠프에 도착한 뒤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 ...
[카드뉴스]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05
때까지 몇 주~몇 달간 살 수 있습니다. 사람은 혈당이 부족하면 간이나 근육에 저장해 둔
글리코겐
을 꺼내 혈당을 높입니다. 그것도 부족하면 간은 체지방을 분해해서 포도당을 만듭니다. 마지막에는 근육이나 뼈에 든 단백질까지 포도당으로 바꿔 사용합니다. 이런 과정을 포도당신합성(gluconeogenesis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ATP를 만드는데 쓰인다. 결국 운동을 많이 할수록 우리가 먹은 음식물 또는 몸에 저장된
글리코겐
이나 지방이 더 많이 소모되므로 당연히 살이 빠질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실제 쉬고 있을 때와 운동을 할 때 에너지 소모량은 후자가 당연히 더 높다. 그런데 하루 24시간 단위로 에너지 소비량을 ... ...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
과학동아
l
2017.02.03
혈관 줄기세포가 있는 치수가 있다. 연구팀은 세포의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물질인 ‘
글리코겐
신테이스 키네이스(GSK)3’의 억제제로 이용하는 티데글루십이라는 약물이 치아 안쪽 부분인 치수의 줄기세포를 자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티데글루십은 안전성이 이미 입증돼 치매 환자의 신경퇴행 ... ...
매일이 피곤한 당신, 제발 ‘철’ 좀 드세요!
2016.10.08
불릴 정도로 영양소가 풍부한 굴 또한 철분이 풍부한 음식이다. 철분 외에도 아미노산,
글리코겐
, 비타민 B, 칼슘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어 기력 회복에 도움을 준다. ☞ 한가지 팁! 굴을 먹을 때 레몬즙을 살짝 곁들이면 굴 특유의 비린 맛을 없애고 철분의 흡수를 도와준다. 철분이 다량 함유된 ... ...
초복에 먹는 oo, 남들한테는 보양식 나에게는 독?!
동아사이언스
l
2016.07.16
그 이유는 기온이 올라가면 운동량도 함께 많아지면서 근육이나 간에 저장되어 있던
글리코겐
이 고갈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여름철 실내 냉방으로 인한 실내외 온도차이로 면역력은 더 떨어진다. 여름철 감기에 자주 걸리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그렇다면 답은 홍삼! 홍삼에 함유되어 있는 ... ...
[리우를 향해 뛴다!] 금메달의 과학…생체시계를 리우에 맞춰라
동아일보
l
2016.04.07
만약 탄수화물 섭취량이 부족하거나 타이밍이 적절하지 않다면, 체내에 저장되는
글리코겐
의 양이 적어서 고갈되는 시점이 빠르게 찾아오고, 이로 인해 피로의 발생도 더욱 빠르게 일어난다. 따라서 선수들의 훈련량과 시간, 종목 특성에 따라 탄수화물 섭취량을 계획하는 것이 좋다. 훈련강도에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중요한 분자인 포도당 1-인산을 발견했다. 그 뒤 두 사람은 체내에서 포도당이
글리코겐
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이때 개입하는 인슐린의 역할에 대해 연구를 계속했다. 1957년 아내 거티가 세상을 떠난 뒤 남편 칼은 여생동안 무척 힘들어했다고 한다. 칼 코리는 1984년 사망했다. 1947년 노벨 ... ...
단식의 과학
2014.06.16
간이나 근육에 저장되거나 지방으로 바뀌어 지방조직에 쌓인다. 단식을 하면 처음엔
글리코겐
을 다시 포도당으로 분해해 사용하지만 12시간 정도 지나면 다 소진되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지방을 분해해 케톤체를 만들어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즉 12시간은 음식을 끊어야 복부지방이 연소를 ... ...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
과학동아
l
2014.02.20
좋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송홍선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박사는 “선수의 기량이 좋아지면
글리코겐
저장량이 늘어 에너지를 더 많이 생성하고, 그만큼 젖산이 많이 생겨도 오래 운동할 수 있다”며 “같은 시간 운동을 해도 전보다 젖산 농도가 더 높게 나온다”고 말했다. 이상화 선수의 젖산 내성이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