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기함
별남
기묘함
괴상함
뉴스
"
기발함
"(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포기자 만들지 않아요" 함께 읽고 춤추고 실험하는 과학교사들
2019.05.15
김 교사는 “학생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모습이 대견했다”며 “아이디어를 내는
기발함
과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려는 모습이 예뻐서 도와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현재 김 교사는 임 양이 활동하는 교내 동아리 ‘랩걸(Lab Girl)’의 지도교사를 맡고 있다. 랩걸은 1학년 여학생 5명이 ... ...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
수학동아
l
2019.02.23
새로운 예술 세계를 열며 현대 미술의 선구자가 됩니다. 변기를 작품으로 만드는
기발함
이 지금에 와서는 레디메이드 개념을 최초로 예술에 도입한 작품으로 기록되고 있지만, 여기에 작품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회화로 표현한 움직이는 신체 1. 안과의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속가능한 행복을 위해 '엉뚱함'이 필요하다
2018.10.13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한 행복을 성취할 수 있을까?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그 후로 영원히 행복했답니다”라는 말처럼 하나의 행복한 일로 이후 평생 행복하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들은 행복에 금새 익숙해지고 만다. 처음에는 정말 좋아보였던 물건도 사서 며칠 쓰고 나면 그 ... ...
[2019 R&D 예산안] AI·블록체인 등 4차산업 핵심기술 집중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GIB 제공 4차 산업혁명 시대 초연결사회를 만들기 위한 핵심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AI)과 암호화폐로 급부상한 블록체인 기술이 꼽힌다. 정부는 이들 분야의 기초 연구개발(R&D) 예산을 크게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1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스티븐 호킹에 대해서 더 알고 싶다면? 스티븐 호킹 박사는 연구뿐만 아니라 용기와 끈기, 탁월한 유머감각으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감을 줬다. 학회에서, 또는 책과 강연 등을 통해 그를 만난 사람들은 그와 만났던 기억을 마음속에 생생하게 간직하고 있었다. 2000년 여름 그의 방한을 기획한 ... ...
식재료 아트, 양배추로 만든 인간의 뇌
팝뉴스
l
2018.02.07
팝뉴스 제공 루마니아의 예술가 댄 크레투 음식으로 만든 위트 넘치는 작품들이다. 양배추를 이용해 만든 뇌는 감탄을 일으킨다. 아이디어가 빼어나다. 뇌와 양배추의 유사성은 예술가의 날카로운 눈이 아니면 알아차리기 어려울 것 같다. 계란 프라이로 표현한 미국 애니메이션 캐릭터 호머 심 ... ...
미국-멕시코 장벽 너머의 아기 얼굴
팝뉴스
l
2017.09.18
팝뉴스 제공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에 세워진 장벽. 이 높고 고집스러운 장벽 너머로 아기 미소가 보인다. 장벽 너머 미국을 바라보는 아기의 미소를 귀엽다. 프랑스 출신의 스트리트 아티스트 JR의 작품이다. 사진을 커다란 나무판에 붙여 멕시코쪽 영토에 세워놓았다. 멕시코의 큐레이터 페르도 ... ...
[써보니] 카시트에도 혁신이... 휴대 가능한 카시트 마이폴드
동아사이언스
l
2017.06.29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대중의 참여에 힘입어 실제 제품으로 바꾸는 크라우드 펀딩이 인기입니다. 크라우드 펀딩에서 화제를 모으는 제품은 대개 IT 기술을 기발하게 적용한 제품들이라는 이미지가 있지요. 저렴한 가격의 스마트워치라던가 안드로이드 운용체계(OS)를 올린 게임 콘솔 같은 것들입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의학의 발전 속도를 끌어올리려면 생명의학연구는 오히려 속도를 늦춰야 한다. 즉 진행하는 프로젝트 수를 줄이고 하나하나를 좀 더 엄밀히 수행해야 한다. - 리처드 해리스 자연과학, 특히 실험과학이 다른 학문에 비해 엄격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재현성에 있다고들 한다. 즉 언제 어디서 누가 ... ...
[예술] 도시 공간 설치 작품, 충격과 신선한 유머 넘쳐
팝뉴스
l
2017.03.15
팝뉴스 제공 시민들이 깜짝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사람이 높은 빌딩에서 뛰어내리기 직전입니다. 팔과 발의 힘으로 두 벽을 민 상태로 허공에서 버티고 있습니다. 쓰레기통에 버려져 다리만 보이는 사람도 있네요. 다행스럽게도 사진 속 사람들은 실제 사람이 아니라 모형입니다. 미국의 예술가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