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뉴스
"
기술
"(으)로 총 25,6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환자 맞춤형 항암제, 생성AI가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암 환자에게 최적화된 신약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
기술
연구원(GIST)은 남호정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150만 개 화학 구조와 120만 개 약물 반응 데이터를 학습한 암 유전자 기반 맞춤형 항암제 후보물질 생성 AI 모델 'G2D-Diff'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G2D ... ...
한국인 난청 유전자 지도 구축…진단율 20% 향상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유전적 원인을 규명했다. 전장유전체분석은 생물의 전체 유전체 서열을 분석하는
기술
이다. 연구팀은 난청 관련 주요 유전자 ‘GJB2’ 등을 ‘단일 유전자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로 확인한 뒤 타깃패널검사, 전장엑솜검사로 더 넓은 범위의 유전자들을 분석했다. ... ...
비 많이 와도 끄떡없는 도로 포장용 매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건설연 연구팀이 ‘비포장도로 포장용 초속경 콘크리트 복합매트 시공
기술
’을 시연하고 있다. 건설연 제공 우기에도 끄떡없는 도로 포장
기술
이 개발됐다. 동남아시아 농촌지 ... 및 현지사업화(2023~2024)' 과제를 통해 이뤄졌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
은 '콘텍이엔지'에
기술
이전됐다. ... ...
수학과 생명과학 융합해 세포 데이터 분석 30배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됐다. 단일세포 수준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는
기술
인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법(scRNA-seq)'은 현대 생명과학 연구의 핵심 도구다. 유사한 유전자 발현 특성을 가진 세포들을 그룹으로 묶는 클러스터링 작업은 암세포를 식별하거나 새로운 세포 유형을 발견하기 위한 ... ...
청정수소 품은 암모니아 분해 효율, 신개념 촉매로 3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경제성을 모두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구기영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
은 기존 나노촉매 제조의 복잡성과 비용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한 실용적 방법”이라며 “향후 펠릿 형태의 촉매 양산과 실제 시스템 적용을 통해 상용화를 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 ...
UNIST, 자외선 손상입은 DNA 복구 방식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연구진이 강한 자외선으로 손상된 DNA 가닥이 복구되는 방식을 규명했다. 울산과학
기술
원(UNIST)은 이자일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DNA 복구 경로인 ‘뉴클레오타이드 절제 복구(NER)’에서 손상된 부위를 찾아내는 두 단백질이 기존에 알려진 ‘순차적 전달’ 관계가 아닌 ‘협력적 복합체’ 형태로 ... ...
"내 의료정보 새지 않을까"…유명무실한 상급종합병원 개인정보 보호제도 1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계획”이라고 말했다. 병원들의 정보보안 전문가 확보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과학
기술
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24년 사이버보안 인력수급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정보보호 인력 부족률은 8.9%에 달한다. 특히 의료 분야는 환자 개인정보와 진료 데이터 등 민감한 정보를 ... ...
정수화 LG전자 부사장 "뿌리
기술
인재 부족…공동연구할 대학 연구실도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찰머스공대 교수는 나노
기술
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면 고해상도·고정확도 현미경
기술
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미래 소재를 설계할 때 근본적인 물리 현상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올슨 교수는 전자현미경 분야의 권위자로 현재 노벨물리학상 선정위원을 맡고 있다. 그는 수 ... ...
[사이언스게시판] 2~4일 '나노코리아 2025'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2012년 삼성호암상 수상자인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가 각각 ‘퀀텀닷(양자점)’과 ‘나노
기술
’을 주제로 강연한다. 강연은 호암재단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 ...
[과기원NOW] UNIST, 교자성체 메모리 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예르비아호 대사는 2024년 대사 부임 후 국내 주요 과학
기술
기관을 잇따라 방문하며 양국 간 혁신 생태계 협력 강화에 주력해왔다. 핀란드는 첨단 ICT, 바이오, 에너지 등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국가로 주한 핀란드 대사관은 국내 여러 대학 및 연구기관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