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력
장치
전달
뉴스
"
동력전달장치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5) 우주발사체 전자장비 이어주는 신경망을 책임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2
경남 사천 카프마이크로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누리호에 들어갈 와이어 하네스를 조립하는 작업을 널따란 테이블 위에서 진행하고 있다. 사천=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지난 6월 8일 경남 사천공항에서 차를 타고 약 10분간 남쪽으로 달려 도착한 항공우주 부품기업 카프마이크로. ... ...
[프리미엄 리포트]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
과학동아
l
2021.07.31
네덜란드 스타트업 라이트이어가 개발한 장거리 태양광 전기차 '라이트이어 원'의 모습. 보닛과 지붕에 5제곱미터의 태양전지가 덮여 있다. 라이트이어 제공 국제에너지기구(IEA)의 통계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도로 위를 누빈 전기차의 수는 1100만 대다. 지금의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10년 뒤에는 전 ... ...
[주말N수학] 당신을 속도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수학동아
l
2021.06.05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 지난달 19일 전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개봉해 화제를 모으고 있는 영화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시리즈의 시작인 ‘분노의 질주(2001)’가 개봉한 지 20년째 되는 해에 아홉 번째 이야기를 선보였습니다.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의 주인공 도미닉(빈 디젤)은 여러 ... ...
한국 영토 지키는 헬기들, 국산 기술로 날개 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최근 한국형 헬기인 수리온을 비롯한 국내 헬기에 장착되는 기어박스를 국산화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제공 지난해 국방부가 펴낸 국방백서에 따르면 군이 운용 중인 헬기는 680여대에 이른다. 한국 영토와 영해를 지키기 위해 곳곳을 누비는 이들 헬기는 주기적으로 ' ... ...
출연연-육군 손집고 차세대 고기동 헬기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개발 기획을 진행했다. 기계연은 국방과학연구소와 2012년부터 복합전투회전익기
동력전달장치
개발에 참여해 연구개발 경험을 쌓아왔다. 박 원장은 “차세대 고기동 회전익기 개발 등 국방 항공분야 첨단기술 개발과 한국 무기체계 혁신을 위해 손을 맞잡게 됐다”며 “그동안 축적해 온 ... ...
부작용 없는 뇌 신호 측정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이 개발한 다기능 그물 구조 탐침이다. 탐침에 삽입된 광도파로를 통해 빛으로 뇌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a). (b)는 광섬유에서 나오는 빛을 광도파로를 통해 뇌 안으로 입사시키고, 빛에 반응하는 뇌 신호를 측정하는 개념을 표현했다. IBS 제공. 뇌의 신호 전달 체계는 ... ...
빛 쪼여 약물 주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팀과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팀이 유기 태양광발전 소자를 이용해 자동 약물 방출 시스템을 개발했다. 포스텍 제공 빛을 쪼이기만 해도 자동으로 약물이 체내에 주입되는 신개념 약물 전달 시스템이 나왔다. 포스텍은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팀과 화학공학과 조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모빌리티 기술
과학동아
l
2021.01.16
자체 추진력을 가지고 액체 속에서 움직일 수 있는 마이크로보트(micro-boat)가 과산화수소 수용액 위에서 움직이는 모습이다. 소프트 메터 (다니엘 라 크래프트 네덜란드 라이덴대 물리학과 교수팀) 제공 잔잔한 바다 위를 항해하는 배에서 금방이라도 선원들이 나와 분주하게 움직일 것 같다. 선실 ... ...
전량 일본서 수입한 최고 정밀도 ‘머시닝센터’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공작기계다. 지그센터는 공작기계용 고정밀 구조부품, 항공기 엔진 및 동체 부품,
동력전달장치
부품 등 일반 머시닝센터로는 가공이 어려운 고정밀 핵심 기계류 부품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일반 머시닝센터 대비 정밀도는 약 5배, 강성은 약 2배 정도의 성능이 요구된다. 고도의 정밀도를 ... ...
세계 최고 수준 인공 촉각세포 만든 김도환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김도환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사람 피부에 가장 가까운 전자피부와 인공촉각을 개발하고 있는 김도환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사진)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이달의 과학기술인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