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무지
생명수
약수
약수물
약물
뉴스
"
생수
"(으)로 총 9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속 미세플라스틱, 손쉽게 식별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연구결과를 2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 최근 페트병에 든
생수
에서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물에서 미세플라스틱을 검출하고 어떤 플라스틱인지 식별하는 과정은 환경 모니터링에 필수적이다. 기존 검출 방법은 물에서 다른 유기물과 ... ...
60년 뒤 한국, 300만명은 ‘지하수 부족’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지하수를 얻는 데 어려움이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지하수는 우리가 마시는
생수
는 물론 공업용수와 농업용수의 공급원이다. 지하수 수위가 낮아지면서 우리 삶에 필수적인 물 자원을 수급하기 위해 지금보다 많은 자금을 투자해야 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감종훈 포스텍 환경공학부 ... ...
격리 환자에게 생필품 비대면으로 배송하는 로봇 실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직접 전달하는 배송 마지막 구간을 의미한다. 이번 실증에 활용된 딜리버디-H는
생수
와 같은 무거운 물품을 배송하기 위한 로봇이다. 최대 12kg이 나가는 물건 3개를 적재할 수 있으며 3시간 충전으로 약 8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병원시설은 물론 공동주택 등에서의 활용도 기대되는 로봇이다. ... ...
수돗물 미세플라스틱, 끓이면 90%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페트병에 담기는
생수
에도 미세 플라스틱이 수만개 들어있다는 사실이 최근 알려지면서
생수
는 물론 마시는 수돗물 속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 중국 과학자들이 수돗물 속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필터나 최첨단 정수 기술이 아닌 끓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오늘날 수돗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인구가 크게 즐어든 것은 사실이다. 불소를 첨가한
생수
를 개발하는 시도가 필요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 보건복지부와 치과의사협회가 구강보건법으로 법제화된 수돗물 불소 농도 조정 사업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적극적인 노력을 서둘러야 ... ...
생수
1리터 용기에 플라스틱 입자 약 24만개 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9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관련해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생수
병 외에 수돗물에 담긴 나노플라스틱 조각의 개수도 파악할 예정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살인적 사용법' 책임 물어야
2023.12.20
책임도 무겁다. 참고로 미국의 환경보호청(EPA)은 소비자에게 초음파 가습기에 반드시 ‘
생수
’를 쓰도록 권고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EPA’와 ‘humidifer’를 검색하면 누구라도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명백한 사실이다.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에 필요한 산업화 기술을 관리해야 하는 산업부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요소수가 떨어졌다고 경유 차량을 무작정 세워둘 이유도 없다. 요소수 탱크에
생수
를 넣으면 된다. 물론 어쩔 수 없는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긴급 처방이다. 요소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대기 오염이 심각해진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SCR의 고장이 모두 요소수의 ‘품질’ 탓이라는 ... ...
"제 발명품에 상하수도 시스템 적용하면 하루 1인 물 사용량 알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1.17
전시물을 관람하고 있다. 오사카=손인하 기자 cownina@donga.com 사람이 하루에 쓰는 물을 2L
생수
병에 담는다면 몇 병이 필요할까. 2021년 서울 시민 기준으로 1인 세대의 하루 물 사용량은 264L로 총 132병이 필요하다. 일본의 1인당 물 사용량도 유사한 수준이다. 일본 오사카 하수도과학관의 ... ...
나라스페이스, 국내 첫 상업용 초소형 위성 발사·교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1.13
수 있게 된다. 이번에 발사된 옵저버 1A호는 가로·세로 각각 20cm, 높이는 40cm로 2리터
생수
병 4개를 묶는 것과 크기가 비슷하다. 원하는 지구 영상을 하루 1~2차례 활영해 지상 관제팀으로 보낸다.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면적은 서울 면적과 유사한 가로 40km, 세로 14km다. 해상도는 너비 1.5m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