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서전
사전
옥편
딕셔너리
뉴스
"
자전
"(으)로 총 259건 검색되었습니다.
"민간기업 주력하는 '소형 재사용발사체' 경제성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특히 한국에서 발사하는 소형 재사용발사체는 더 비효율적이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
자전
을 '부스터'로 활용할 수 있는 동쪽으로 일본 열도가 가로막고 있고 남쪽으로는 오키나와와 많은 섬들이 있어 이 지역을 피해 1단 로켓을 떨어뜨려야 한다. 연구팀은 "오키나와와 필리핀의 공해상에 ... ...
"단단한 지구 내핵, 표면 변형돼 흐르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숨겨진 새로운 역학관계를 밝힐 기회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내핵
자전
속도 감소 현상이나 지구의 열·자기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61-025-01642- ... ...
달의 '두 얼굴'…뒷면서 장기간 화산 폭발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4.11.17
중국 달 탐사선인 창어 6호는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서 토양 샘플을 채취했다. 달은
자전
주기와 공전주기가 같아 지구에서는 항상 같은 면만 볼 수 있다. 지구에서 보이는 면이 앞면, 반대편이 뒷면이다. 1959년 러시아(당시 소련) 우주선인 루나 3호가 처음 달 뒷면을 포착했다. 그 이후 미국 ...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과학 시상식…2024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09
영향을 받아요. 물체가 회전할 때 작용하는 힘을 '코리올리힘'이라고 하는데 지구가
자전
하면서 생긴 코리올리힘이 바람이나 해류의 방향을 결정하죠. 저희는 남반구와 북반구 사람들의 가마 방향이 다른 이유에 환경적 요인이 있을 수 있다고 짐작했어요. 하지만 코리올리힘은 대규모 환경에서 ... ...
스페이스X, 지구 극지 상공 민간인 우주비행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8.14
아닌 남북극의 상공을 통과하는 궤도를 뜻한다. 극궤도 위성이 한 바퀴 돌 때 지구도
자전
하므로 지구의 모든 곳을 볼 수 있고 같은 지역을 하루에 두 번 지나 지구를 자주 관측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Fram2은 3∼5일간의 비행을 하는 동안 고도 425∼450km 상공에서 지구의 극지방을 관측하고 ... ...
국산 통신위성 '천리안 3호' 스페이스X 로켓으로 2027년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8.08
위해 7일 스페이스X와 발사용역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정지궤도 위성은 지구와
자전
주기가 같아 항상 같은 곳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위성을 말한다.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은 2010년 6월 발사된 천리안위성 1호의 통신 임무를 이어받고 재난 및 재해 대비를 위한 정보와 공공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간섭계 외에 가장 주목받는 중력파 검출 방법은 고속으로
자전
하는 중성자별인 '펄사'가
자전
할 때 나오는 빛이 지구에 도착하는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중력파가 지나갈 때 시공간 변형이 생기면서 펄사의 주기가 미세하게 바뀌는 순간을 포착해 중력파를 검출하는 원리다. 김정리 이화여대 ... ...
지구는 2시! 달은 지금 몇 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2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반면 달의
자전
주기는 약 27.3일입니다. 하루에 한 바퀴를
자전
하는 지구와 달리 달은 지구의 시간을 기준으로 약 한 달 동안 한 바퀴를 도는 셈이에요. 지구의 시간을 기준으로 하면 지구에서는 환한 낮인 오후 2시가 달에서는 밤이 될 수도 있어요. 이재형 전문관은 ... ...
'양자얽힘' 이용해 지구
자전
속도 측정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기존에 알려졌던 지구의 회전 속도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양자 현상으로 지구
자전
과 같은 거대한 물리 현상을 측정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다음 단계의 대규모 실험을 위한 프로토타입으로 앞으로 중력이 양자역학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거대한 미스터리를 밝힐 수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합쳐지며 지각 아래 밀도가 높은 물질이 집중된 부분인 '마스콘'을 형성한다. 연구팀은
자전
하는 명왕성에서 스푸트니크 평원이 적도 부근에 위치할 수 있던 이유가 바로 마스콘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마스콘이 형성되지 않았더라면 충돌 후 지형이 함몰돼 질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스푸트니크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