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계측
계량
생각
추측
현지 답사
측정법
뉴스
"
측량
"(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 바빌로니아 점토판에서 피타고라스보다 훨씬 앞선 피타고라스 정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22에 쓰인 삼각함수표가 실제
측량
에 활용됐음을 증명하는 사례가 된다. 맨스필드 교수는
측량
에 관한 정보가 새겨졌다고 알려졌던 Si.427 점토판을 찾기 위해 탐사를 이어 왔다. 1894년 이라크 바그다드 지역에서 출토된 이 점토판은 지금은 사라진 콘스탄티노플 제국 박물관으로 옮겨진 후 행방이 ... ...
고릴라가 가슴 치는 사연…"물러서, 난 허풍이 아냐"
연합뉴스
l
2021.04.09
큰 상대를 만나 독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레이저를 활용한 사진
측량
법으로 산고릴라의 몸집을 원거리 측정하고, 약 5시간마다 터져 나오는 가슴 두드림을 녹음해 비교했다. 연구팀은 총 6마리의 수컷 고릴라가 낸 36번의 가슴 두드림을 녹음해 분석했다. 논문 공동 저자인 ... ...
[우주산업 리포트] 아크인베스트먼트 우주탐사 및 혁신 ETF를 아십니까
2021.04.09
무인 경작과 건설 작업이 가능해진다.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험난한 지형의 정확한
측량
과 개발도 사람 없이 가능해진다. 트림블은 최근 전파방해와 해킹이 어려운 이중 주파수 수신 모듈을 출시했는데, 이 역시 산업의 방향성을 고려한 제품으로 보인다. 우주 ETF에 포함됀 일본 굴삭기업체 ... ...
드론으로 북극 해빙 고해상 촬영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극지연구소가 드론 촬영 영상을 하나로 모아서 제작한 북극 해빙의 모습(왼쪽)과 수치표고모델(오른쪽). 수치표고모델에서는 붉은색일수록 높은 고도를, 푸른 ...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ISPRS 사진
측량
원격탐사지’ 2월호에 게재됐다. ... ...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공식 높이는 8848.86m…0.86m 더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중국과 네팔의 국경에 위치한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의 높이가 8848.86m로 정해졌다. 위키피디아 제공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의 높이가 해 ... 계산했다. 중국도 올해 5월 중
측량
팀이 에베레스트 원정을 마쳤다. 중국도 정밀 중력
측량
장비를 실은 비행기를 동원하는 등 측정에 공을 들였다 ... ...
우주탐사선 기록 제조기 하야부사2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착륙 장소를 찾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 JAXA는 류구 표면에 있는 암석 1만여 개의 크기를
측량
한 후 적도 근처의 장소(L08)을 최종 착륙 지점으로 선정했다. 하야부사2는 목표 장소에 미리 던져두는 ‘타깃마커’를 이용해 목표 장소와 불과 1m 정도밖에 나지 않는 곳에 착륙했다. 타깃마커는 햇빛을 ... ...
3억km 떨어진 '소행성 비밀' 싣고 온 日탐사선, 샘플 투척 후 또 탐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착륙 장소를 찾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 JAXA는 류구 표면에 있는 암석 1만여 개의 크기를
측량
했고, 적도 근처의 장소(L08E1)을 최종 착륙 지점으로 선정했다. 이로써 하야부사2는 탄소질 소행성에 착륙한 최초의 소행성 탐사선이 됐다. 소행성은 태양계 우주 공간에서 발생하는 태양풍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1997년 9월 필자가 겐첼 교수와 함께 한 알프스 등반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맨 오른쪽이 필자인 박수종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이며 오른쪽에서 두번 ... 현재는 거대마젤란 망원경(GMT)의 다천체 분광기(GMACS) 제작 연구와 슬로운디지털천구
측량
(SDSS)의 분광기 제작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 ...
초대질량블랙홀 뿜어내는 강력한 불꽃으로 먼 우주 거리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곳에서 표준척도나 표준촛불을 찾아내서 더 멀리 떨어진 천체까지를
측량
해나가는
측량
체계를 ‘우주 거리 사다리’라고 한다. 태양계 내에서는 레이더와 비례식으로 시작해서 조금 더 먼 거리는 연주시차로, 마지막으로는 허블-르메트르 법칙까지 다양한 거리측정법들을 통해 천체까지의 거리를 ... ...
터널·백화점은 실내 내비의 시험무대…실내외 가리지 않는 심리스 내비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전파가 닿는 범위가 15km에 이르러 기지국 사이의 거리도 멀다. 핑거프린팅이나 삼변
측량
을 쓰지 못하는 이유다. 이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LTE 신호를 활용하면서도 정확도를 높인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핑거프린팅 기술을 한층 개선한 방식이다. 실내에서 LTE 신호의 세기를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