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재
존재
현재
현실
기존
생존
실존
뉴스
"
현존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2025년 양자역학 100주년…눈앞에 다가온 양자컴·양자통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활용한 정보 단위인 큐비트(qubit)를 활용해 복잡한 연산을 수행한다. 변수가 매우 많아
현존
슈퍼컴퓨터로 해결이 어려운 기후변화 예측이나 신약·신소재 후보 물질 탐색, 자원 최적화 문제 해결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아직 큐비트가 외부 환경 변화에 예민해 오류가 발생하기 ... ...
구글, 규모 커질수록 양자오류 줄어드는 양자컴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수십, 수백만 개까지 늘려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윌로우는 성능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현존
하는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인 '프론티어' 기준으로 10셉틸리언(septillion)년이나 걸리는 문제를 5분 안에 풀 수 있다는 결과를 냈다. 셉틸리언은 10을 24번 제곱한 값으로 우주의 나이보다도 훨씬 길다. 다만 이 ... ...
기존 일기예보 능가하는 구글 딥마인드 AI '젠캐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24.12.06
시스템의 성능을 능가하는 머신러닝 일기예보가 등장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현존
최고 수준의 일기예보 시스템의 예측도 빗나가는 경우가 많다. 기상 현상에는 변수가 워낙 많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미세한 변화만으로도 예측을 크게 벗어난다.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데미스 ... ...
[과기원NOW] GIST, 서미라 작가 초대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03
서 작가의 대표작인 ‘한결’은 대동여지도를 천 위에 바느질로 표현해 눈에 보이는
현존
과 보이지 않는 부재 사이에서 드러나는 흔적을 나타냈다. 이번 전시회는 평일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 열리며 누구나 관람할 수 있다. ■ GIST는 신용보증기금과 혁신기술 확산 및 기술창업 생태계 ... ...
"새 줄기세포로 호르몬 부작용 없이 탈모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2
많은 양의 MSC와 EpSC를 추출하는 것은 학계의 숙제였는데 셀리서치가 개발한 추출 수율은
현존
기술 중에서도 최고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얻은 제대 내막 줄기세포는 탈모 치료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엑소좀을 증식하게 만든다. 엑소좀은 세포에서 방출되는 작은 막으로 둘러싸인 ... ...
[과학사 극장] 장영실의 초상화는 진짜 얼굴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4.11.30
통해 장영실과 측우기의 상관 관계가 만들어진 듯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추정일 뿐이다.
현존
기록 만으로는 장영실이 측우기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없다. "장영실이 만들었다”고 알려진 세종 시대의 다른 대표적인 과학 유물도 사정은 비슷하다. 측우기와 비슷하게 장영실이 만들었다고 ... ...
실험실에서 '원시 세포막'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세포가 만들어질 때 원시적인 세포막이 어떤식으로 구현됐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현존
생명체의 세포막은 인지질이라는 물질이 두 겹으로 늘어선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됐다. 인지질은 인(P)에 탄소 원자가 사슬 구조로 길게 이어진 지방산이 붙은 형태다. 복잡하고 무거운 분자이기 ... ...
미적분 공략, 시작됐다…시즌 2로 돌아온 신개념 수학 토크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천재 수학자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와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관계 있는 '미분기하학',
현존
최고 수학자로 꼽히는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의 전문 분야인 '조화해석학'부터 '확률론', '최적화 이론'을 훑는다. 올해 다수의 노벨상을 수상하며 관심이 ... ...
뇌 비밀 밝히는 연구 '열쇠' 시냅스 관찰 기술 집대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있다는 점이다. 시냅스 관찰과 조절을 동시에 할 수 없다는 한계도 있었다. 연구팀은
현존
하는 주요 시냅스 관찰 기법을 원리와 특징에 따라 3가지로 분류했다. 시냅스 연결 기반 신경세포 표지 기술, 시냅스 내 분자 선택적 표지 기술, 전시냅스와 후시냅스 접촉면 표지 기술이다. 각 기술의 ... ...
없던 모성본능까지 만든다…나노가 바꿀 미래의학
동아사이언스
l
2024.08.23
수 있다.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약물이 타깃 부위에만 정확히 전달돼야 한다.
현존
하는 약물들은 타깃 부위로만 이동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항암제를 쓰면 약물이 정상 조직으로도 이동하며 암세포가 아닌 정상세포도 공격하는 게 대표적이다. 이를 견디지 못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