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성
천성
실체
성질
정수
진수
근본
스페셜
"
본질
"(으)로 총 1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부제를 보니 생명의 기원을 다룬 책인 것 같아 좀 읽어보니 기원을 포함해 생명의
본질
을 논하고 있다. 저자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의 이론물리학자 폴 데이비스로 1943년 더블린 강연에서 에르빈 슈뢰딩거가 던진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 이 책을 쓴 것으로 보인다. 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한국의 R&D 예산 삭감안과 이에 따른 연구자들의 우려를 집중 보도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기사. 사이언스 홈페이지 캡처 정부의 국가연구개발 예산 16.6%(5조2000억원) 삭감의 후폭풍이 거세다. 특히 기초연구가 2조4000억원(6.2%)이나 줄고, 25개 출연연 예산도 2조1000억원(10.8%)이나 깎인다는 소식에 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쓰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기존 대형 제약회사들의 외면으로 파지요법은
본질
적으로 맞춤형 치료이기 때문이다. 감염 부위에서 분리한 박테리아에 맞는 파지를 찾아 치료제로 써야 하므로 번거롭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 상징되는 서구의 신약 승인 시스템도 파지요법 확산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아무런 영양가도 없는 거창한 말들에 잘 넘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삶의
본질
적인 가치는 홍익인간의 정신에 의해 하늘을 가로지르는 난파선이다’ 같이 있어 보이는 표현을 잔뜩 넣었지만 실은 아무 말이나 늘어 놓았을 뿐인 말들에 더 쉽게 넘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니까 소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
2023.06.20
관심을 가진 학생들의 국제적 역량과 관심을 키워주기 위한 국제과학올림피아드의
본질
을 훼손하는 일도 마다하지 않는다. 오로지 정부의 지원금을 받기 위해 억지 사업을 마다하지 않는 전문가도 넘쳐난다. 시들해지는 과학고와 영재학교를 되살려내려는 과학기술계의 노력은 신중해야 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불안하란 법은 없다
2023.04.15
더 근본적으로 삶은 원래가 알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것들로 가득차 있다. 산다는 것은
본질
적으로 불확실성과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삶에 대해 깊이 생각하면 할수록 우리는 불안해진다. 많은 이들이 밤에 잠을 못 이루는 이유 또한 침대 밑에 괴물이 있어서가 아니라 ... ...
[오늘과학] "엄마의 통제적 양육방식, 자녀 정신건강에 해롭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13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와 청소년 주변 사람들은 청소년이 원하는 지원의
본질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복지 증진 등 건강한 삶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내장 훤히 보이는 유리개구리의 은신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2.25
저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 델리아 미국 자연사박물관 연구원은 "유리개구리는
본질
적으로 적혈구를 시야에 숨겨 이런 문제를 해결했다"며 "이들은 낮 동안 거의 호흡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리개구리가 다시 활동을 시작하면 간에 있던 적혈구가 다시 혈액으로 들어간다. 이번 연구에서는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특정 언어에 통달해지는 것은 운동을 배우고 달인처럼 특이한 기술에 통달해지는 것과
본질
적으로 비슷하며, 이들의 학습은 뭔가를 배우기 위해 오류를 없애가는 과정이 중요시 된다. 그렇다면 우리의 뇌는 이러한 학습 과정 중에 어떻게 오류를 낮추거나 제거해 나갈까. 인간의 뇌로 이를 직접 ... ...
필즈상 허준이 교수 "한국서 수포자 생기는 이유, 완벽하게 잘해야 하는 사회문화적 배경 탓"
동아사이언스
l
2022.07.13
조합론과 대수기하학을 연결해 수학계 난제를 푼 공로로 필즈상을 받았다. 허 교수는 “
본질
적인 문제들은 경계를 넘어설 것을 우리에게 요구한다”며 “순수 수학이 우리에게 가르쳐 줄 수 있는 중요한 가치 중 하나가 바로 우리가 스스로 편견을 넘도록 해준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