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포
도수
횟수
범위
스페셜
"
빈도
"(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상대 수비수(주로 골키퍼)의 컨디션이나 운 때문이라고 넘어갈 수도 있지만 어긋나는
빈도
가 잦다면 다른 변수가 경기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23/24 EPL 20라운드 현재 각 경기의 기대득점과 기대실점에 따른 승패로 계산한 기대승점(왼쪽)과 실제 승점(오른쪽)을 비교한 그래프다.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0359-008-0336-0). 로팔리아에서 방출되는 전기신호가 주변 빛의 세기를 변화시킬 때마다 그
빈도
가 유의미하게 변하였던 것이다. 로팔리아에서 생성되는 swim pacemaker 전기신호가 빛 자극에 의해 변화하는 예시. 그러므로 로팔리아가 시각 자극을 받아들여 운동 신호를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잘 모르지만 기억 정보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은 해마 내 감마파동과 같은 빠른
빈도
의 신경활성과 연관성이 높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0.1038/nn.4374). 쎄타 활성을 조절하면 기억정보들 간 구분이 확실해져서 정보간의 충돌이 낮아지고 이는 특정 정보를 다른 정보들과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것이다. 각종 미디어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언급이 많아진 것이나 직접 체감하게 된
빈도
가 늘어난 것이 기후 위기를 더 현실로 느끼게 했을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현실을 직면하고 분노와 절망 같은 부정정인 감정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실제적인 변화를 일으키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많았지만 리스터는 굴하지 않고 소독법을 계속 연구하여 방법을 개선하고 패혈증 발생
빈도
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했다. 1840년대에 마취제가 발견되었고 1860년대에는 이차감염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무균처리법이 개발됨으로써 수술은 크게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수술법의 발전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오발부민 알레르기가 없는 생쥐는 맛이 구수한 오발부민 용액이 든 통의 꼭지를 핥는
빈도
가 훨씬 높았다. 반면 피하주사로 오발부민 알레르기가 생긴 생쥐는 오히려 맹물을 약간 더 많이 찾았다. 영양분이 들어있음에도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오발부민 용액을 기피한 결과다. 한편 물을 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늘어 놓았을 뿐인 말들에 더 쉽게 넘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니까 소위 헛소리를 하는
빈도
가 높을수록 헛소리에 더 많이 빠져들고 잘못된 믿음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심리학의 발견들이 가져다 주는 가장 큰 지혜 중 하나가 바로 이렇게 우리는 헛소리를 사랑하고 헛소리에 취약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사회에 비해 폭력을 묵인하고 용납하는 정도가 더 높은 사회에서 가정폭력이나 성폭력의
빈도
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은 이를 용인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과거의 홀로코스트, 노예제 등 끔찍한 역사를 통해 인간은 다수의 압력에 쉽게 순응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꽤 비싸다. 반면 타우린은 가격이 수십 분의 1 수준이다. 생화학 교과서에 생체 분자 등장
빈도
로 열 손가락 안에 들 NAD+에 비해 아예 나오지도 않는 타우린을 무시해온 나 자신을 반성하며 타우린 보충제 주문 버튼을 클릭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
2023.05.26
감소시켰다. 그 후 위장관 내 액체 주입 없이 다시 두 가지 맛의 액체를 섭취하는
빈도
를 측정함으로써, 수분만족감에 의한 도파민 분비 증가가 맛을 기억할 수 있는지 시험한 것이다. 그 결과, 생쥐들은 위장관 내에 ‘식수’를 주입했을 때 맛본 액체를 더 선호하게 되고 ‘소금물’을 주입했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