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스페셜
"
속담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옛날 치아 상태가 오복의 하나인 장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런데 이
속담
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치주염 같은 구강질환이 구강의 문제에 그치는 게 아니라 건강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관련 구강미생물이 혈관으로 들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스트레스를 받으면 열나는 이유
2020.05.05
곰곰이 생각해보면 수긍이 간다. ‘호랑이 굴에 들어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는
속담
도 있듯이 위기 상황에 마주쳤을 때 몸의 본능적인 생리적 반응을 통제할 수 있다면 감정(공포)에 압도돼 혼비백산하는 대신 침착하게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이번에 발견한 스트레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
2020.01.17
모든게 다 논문 때문이다 출판하지 않으면 죽는다. 과학계에 널리 퍼진 자조적인
속담
이다. 과학자들에게 논문은 일종의 화폐다. 과학자가 자신의 경력을 유지해나가는데 있어, 논문은 정말 화폐처럼 사용되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이 취업하고, 제자를 받고, 논문을 심사하고, 연구비를 신청하고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발견됐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닭싸움'시키려고 키웠다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
이 있는 것을 보면 인류는 오래전부터 닭을 키워왔던 것 같습니다. 인간 유적에서 발견된 닭의 흔적은 4000년 전의 것으로, 소나 돼지 같은 다른 가축보다는 비교적 최근의 일입니다. 동남아시아의 정글에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사용은 억제되어야 한다고 9살 아이에게 말할 수는 없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
으로 얼버무릴 수밖에. 도움자료 1) 12~13일 차 교안을 공유합니다.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Jq8TgernewDdRkHsoJUCskZbhFNhl-fV 2) 아이와 만드는 코드도 공유합니다. 엔트리 메인화면의 공유하기에서 “chloe1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추석의 마음
2018.09.23
추석은 나누는 날입니다. ‘설에는 옷을 얻어 입고, 한가위에는 음식을 얻어 먹는다’는
속담
이 있는 이유죠. 따뜻한 정 추석에는 수많은 사람이 이동합니다. 고향으로 향하는 사람도 있고, 집안 어른께 인사를 올리러 다니는 사람도 있습니다. 성묘를 하느라 선산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반응해 신체에까지 악영향을 미친 결과이지만(‘빈대 잡자고 초가삼간 태운 격’이라는
속담
에 해당), 자가면역질환은 면역계가 내 몸의 물질을 외부 물질로 인식해 공격한 결과 신체가 손상을 입는 현상이다(‘자중지란(自中之亂)’이란 사자성어에 해당). 자가면역질환이 생소한 독자들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하인일 때는 나긋하지만 주인이 되면 난폭해진다. -
속담
2005년 4월 4일 밤 강원도 양양군의 한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제대로 진화가 안 돼 큰 불로 번지면서 인근 낙산사까지 불바다가 되는 참사로 이어졌다. - 연합뉴스 제공 결과보다는 동기가 중요하다고 말들은 하지만 살다보니 막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다른 종인 사람의 얼굴도 잘 식별했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우리
속담
도 이런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즉 사람 왕래가 별로 없던 옛날 시골에서 낯선 사람을 보고 까치가 경계 신호를 보낸 셈이다. 반면 까치 연구가가 아닌 다음에야 “못 보던 까치네...”라는 식별능력이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
2017.01.23
반비례 관계라는 내용을 담은 논문이 실렸다. ‘말이 많으면 쓸 말이 적다’는 우리
속담
이 사실이라는 얘기다. 미국 브라운대 유리엘 코헨 프리바 교수는 섀넌의 정보이론에 기반해 대화과정에서 소화할 수 있는 정보의 양(섀넌의 용어를 빌면 채널용량)이 일정하다면 말이 빠른 사람은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