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기원
출처
연혁
근원
역사
원천
스페셜
"
유래
"(으)로 총 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걱정할 이유가 없는 상태다. 환경부가 규제해야 하는 것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자연
유래
불소가 아니라 산업단지에서 불소의 불법적인 누출 사고로 발생한 토양 오염이다. 흙에 들어있는 불소가 인체에 피해를 주게 될 가능성은 상상하기 어렵다는 사실은 삼척동자도 이해할 수 있는 거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디켐브리스’(오늘날의 12월) 다음에 두 얼굴을 가지고 성문을 지키는 ‘야누스’에서
유래
된 ‘야누아리우스’(오늘날의 1월)와 정화(淨化)를 뜻하는 ‘페브루아리우스’(오늘날의 2월)를 넣어서 1년을 365.25일로 만들었다. 자신의 문화적 전통을 전 세계에 자랑하고 싶은 심정을 탓할 수는 없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집중적으로 괴롭혔다. 납작한 코를 일컫는 ‘빈대코’는 빈대의 납작한 모양에서
유래
된 말이다. 우리 속담에 빈대가 많이 등장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지나치게 염치가 없는 사람을 나무라는 ‘빈대도 낯짝이 있다’는 속담은 그런 사실을 반어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빈대(bed bug)는 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발견한 종두법이 암소를 이용한 것에 착안하여 라틴어로 암소를 의미하는 vacca에서
유래
하여 백신(vaccin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도 파스퇴르였다. 1901년에 첫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베링(Emil von Behring)은 디프테리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것도 일종의 백신에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세포 분열 과정에도 지속될 정도로 안정적이고 오래가며 환경에서
유래
한 자극이나 경험에 의해 유동적으로 켜지고 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해당 세대의 생식세포 내에서 벌어지고 그 생식세포가 수정에 성공해 후속 개체를 낳는 것에 성공한다면 내가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실로시빈의 새로운 작동기전은 기존 항우울제가 우울증을 치료하는 기전과 유사한 뇌
유래
영양인자 신호체계이다. 이는 사이키델릭 약물들이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특정 질환의 치료 타겟이 될 수 있는 세포내 신호체계를 다른 약물들보다 더욱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질환 치료제로 활용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한다. 영어로 원자를 의미하는 atom은 그리스어로 분할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atomos에서
유래
했다.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Democritos)와 영국의 돌턴(John Dalton, 1766~1844)이 원자설을 주장할 때는 가장 기본입자인 원자가 더 이상 쪼개질 수 없을 거라 믿었다. 그러나 지금은 사이클로트론과 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다듬어 새 품종을 개발했다. 오늘날 유통되는 토마토 품종 대부분은 게놈에 야생종에서
유래
한 병원체 저항유전자를 포함한 영역을 지니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맛과 향, 색깔 등 과일로서의 상품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육종이 진행됐고 그 결과 마트에서 새로운 토마토 품종이 속속 소개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프리카 스와힐리 문화 형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01
섞이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아시아계 DNA의 80~90%는 페르시아 남성에서
유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레이치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스와힐리에 대한 역사를 담은 가장 오래된 기록인 ‘킬와 연대기’에 명시된 이야기와 일치한다”며 “아프리카인과 페르시아인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살았는지를 돌이켜 보면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앞서 '암도 유발하는 '바이러스'
유래
는 '독성물질'(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7649)'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소개한 라우스(Peyton Rous)는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66년이 지난 다음 뒤늦게라도 업적을 인정받아 노벨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