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책자"(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바이오게시판] 복지부, 치매 극복 수기 사례집 발간 外동아사이언스 l2021.02.10
- 담겨있다. 사례집은 시·도와 256개 치매안심센터, 17개 광역치매센터 및 노인복지관 등에 책자로 배포됐다. ■부산대병원은 9일 설 연휴 동안 발생하는 응급환자에 대비한 응급진료체계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연휴기간 동안에도 권역외상센터와 응급의료센터는 평소처럼 24시간 운영한다. ... ...
- [과학게시판] 재료연, 온라인 기업지원 화상회의 플랫폼 무료 개방 外동아사이언스 l2021.01.13
- 한국재료연구원 연구진이 이달 8일 온라인 기업지원 화상회의 플랫폼을 이용해 자동차 부품업체 '센트랄'과 화상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재료연구원 제공 ■ 한국 ... 바다를 연구하다’는 세계 첫 정지궤도 해색위성 ‘천리안’을 소개한다. 발간된 책자는 서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2020.10.01
- 시작했다. 1842년에는 35쪽짜리 진화론에 관한 개요를 썼고 이를 바탕으로 1844년에는 책자 분량의 원고로 정리했다. 그러나 대중적으로 공개하지는 않았다. 이후로는 따개비의 생태를 집중적으로 연구해 1854년 그 결과를 책으로 발표했다. 이후 라이엘 등 주변의 강력한 권고로 다윈은 종의 전환에 ... ...
- 25년뒤 90대는 틀니·임플란트 안해도 된다…2045년 과학이 그린 미래동아사이언스 l2020.08.26
- 지침서로 활용해 전략의 실효성과 실행력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쉽게 서술한 홍보용 책자를 주요 국립과학관 등을 통해 배포하는 등 국민들에게 전략을 널리 홍보하고 확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 [의학바이오게시판] 삼성서울병원, 당뇨병 책자 2권 발간 外동아사이언스 l2020.06.17
- 시리즈 책자 1편의 제목은 '인슐린 펌프로 고수되기'이다. 1형 당뇨인들을 위한 교육 책자로 지속혈당감시장치와 인슐린 펌프 사용법을 설명했다. 2편 제목은 '탄수화물 섭취량 알고먹자'이다. 당뇨병관 관련해 식사관리, 탄수화물 섭취량, 탄수화물 계수들을 설명했다. ■김용진 고려대 ... ...
- [과학게시판] KAIST, '증강현실 프로그램' 대학원 신입생 모집 外동아사이언스 l2020.04.08
-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시민과 전문가가 논의한 결과를 담은 ‘소셜 로봇의 미래’ 책자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소셜 로봇은 인지와 교감 능력을 바탕으로 인간과 상호작용해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이다. 책에는 소셜 로봇 기술을 소개하고 로봇의 활용처와 향후 미칠 영향에 대해 ... ...
- [과학게시판]'한반도 북부의 지질과 광물자원' 발간 外동아사이언스 l2020.01.21
- 일어난 지질학적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북한의 연구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책자는 무료로 배포하며 042-868-3106으로 문의하면 받을 수 있다. DMR융합연구단 홈페이지에서도 받을 수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달 21일 서울 서초 ...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2019.12.26
- ‘기적의 해’라 부른다. 울즈소프에 머무는 동안에는 노트 등으로만 정리돼 있던 것을 책자의 형태로 1687년에 출판한 것이 바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이다. 이 책은 ‘원리’에 해당하는 라틴어 ‘프린키피아(Principia)'만 따서 《프린키피아》로 더 많이 불린다. 《프린키피아》는 총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2019.11.14
- 그때까지 자신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들을 정리해서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라는 책자로 발간했다. 우리말로 옮기면 별들로부터의 소식 정도가 된다. 이 책의 서문은 코시모 2세에 대한 헌사로 채워져 있어 갈릴레오의 의도를 짐작할 수 있다. 일부를 옮겨보면 다음과 같다. “전하가 ...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2016.01.18
- 새해선물로 줄 ‘모서리가 여섯인 눈송이에 대해On the Six-Cornered Snowflake’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썼다는 내용이다. 케플러는 눈결정의 모서리가 왜 여섯인가를 설명하려고 시도했지만 (지금의 관점에서는) 성공하지 못했다. 그는 이런 특징이 나올 수밖에 없는 자연의 법칙이 있는가에 대해 논했다.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