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1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학암포의 저녁 무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71점이 경쟁을 벌였는데, 출품된 작품의 수는 지난해보다 다소 늘었다. 특히 이번 수상작
가운데
은상을 차지한 허숙진씨의 ‘긴 겨울밤’이 대상과 함께 뛰어난 일주운동 사진으로 주목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12시간 동안 별의 일주운동을 찍은 작품이다. 또 지난해 초 새롭게 발견된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뉴질랜드와 적도상의 갈라파고스제도에도 서식하고 있다. 이
가운데
대서양 남단에 위치한 포클랜드 섬은 펭귄의 최대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그런데 최근 이 섬에서 펭귄 무리들의 떠들썩한 울음소리가 줄었다. 2002년 12월 포클랜드의 한 해안에 수천마리의 펭귄이 죽거나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나라’와 같은 양자세계에서 벌어지는 일을 설명하려는 해석들은 여러가지다. 이들
가운데
‘다중세계 해석’(many-worlds interpretation)이 있다. 이 관점에 따르면 우주공간 어디에 있든지 양자에는 둘 이상의 선택권이 주어지고 우주는 입자에게 부여된 선택권의 수만큼의 평행우주로 쪼개진다. ...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바탕을 두고 있다. 실제 갓태어난 아기의 경우 베개를 사용하지 않는다. 드물지만 성인
가운데
서도 베개 없이 잘자는 사람이 있다. 또 잠버릇이 거친 사람은 베개를 베고 잤어도 다음날 아침에는 베개가 먼발치에 놓여있기 마련이다. 이런 사실은 베개가 결국 습관이지 별 쓸모 없는 존재라는 주장을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단위는 전자볼트(eV)를 쓴다지방을 가수분해하면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된다 이
가운데
글리세롤과 결합 고리를 끊고 튀어나가려는 지방산을 유리지방산이라고 한다 신선한 기름보다는 산패한 기름에 많이 존재한다매질에 전기장을 걸었을 때 매질의 굴절률 같은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현상면역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유전학, 실험발생학의 세분야로 나뉘어 발전했다.진화와 발생이라는 통합 용매이런
가운데
흥미롭게도 한차례의 통합 움직임이 있었다. 1920-30년대에 집단유전학을 중심으로 진행된 이른바 ‘근대적 종합’(Modern Synthesis)이 그것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발생학은 그 종합의 자리에서 철저하게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일제 총독부가 차별하던 외국유학 출신인데다가 경력도 덜 화려했기 때문이다.이런
가운데
신문들의 보도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과학분야에서는 아주 드물게 박사학위자가 나오고 있어 정확한 조사를 하지 않으면 최초의 이학박사가 누구인지 알기가 힘든 면이 ... ...
촉감 느끼는 로봇 손가락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부풀어오르게 된다. 이 고분자로 로봇 손가락을 만든 것이다.로봇이 촉감을 느끼는 방법
가운데
지금까지 가장 발달한 것은 사람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로봇을 원격조종해서 물체를 다루게 하면 사람이 직접 만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이번에 개발된 로봇 손가락은 로봇 스스로 촉감을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브레너는 왓슨과 크릭이 이중나선 DNA 모형을 만들어 처음 공개할 때 참여한 4인의 증인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고, 이들과 함께 일생 동안 분자생물학의 발달에 많은 공을 쌓은 인물이다.지난 2월말 왓슨이 명예소장으로 있는 콜드 스프링 하버연구소에서는 DNA 구조발견 5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증대시키는데 응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가운데
는 개화조절 유전자를 이용해 개화시기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실험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LFY 유전자를 과발현시켜 얻은 포플러, 오렌지 등이다.개화에 8년 걸리는 포플러를 6개월만에 개화시켜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