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로 바뀐 세상, 코로나19가 바꿀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3호
- 2020년 3월 11일, 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팬데믹’으로 지정했습니다. 코로나19가 우리의 일상이 된 지도 벌써 1년. 그동안 코로나19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꿨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알아봅시다. 학교는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았다 질병관리청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 ...
- [이달의 우주 날씨] 수성 관측? 각도부터 알아야 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성과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은 지구에서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러분, 하늘에서 수성을 발견한 적이 있나요? 수성은 관측하기 까다로운 행성이라서 본 사람이 적을 거예요. 수성을 보기 힘든 이유는 수성의 공전반지름 때문입니다. 태양계 첫 번째 행성인 수성의 공전반 ... ...
- [한페이지 뉴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국내 첫 접종 시작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정부가 2월 말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이용해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하기로 같은 달 15일 결정했다. 대상은 전국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5873곳의 입소자와 종사자 중 만 65세 미만인 27만 2131명이다. 당초 계획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내 만 65세 이상 고 ... ...
- [한페이지 뉴스] 액시온 존재 2배 빨리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암흑물질은 우주에 널리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지만 아직 관측되지 않은 물질이다. 암흑물질의 강력한 후보 중 하나는 전자보다 수십억 배 또는 수조 배 작은 가상 입자 액시온이다. 켈리 배키스 미국 예일대 물리학과 연구원과 미국 콜로라도볼더대 등 공동연구팀은 액시온을 종전보다 2배가량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2019년 9월 20일, 노르웨이 북부 도시 트롬쇠(Tromsø)의 항구 부두에서는 밴드의 연주가 흐르는 가운데 사람들이 초밥을 먹고 작별 인사를 나누는 등 시끌벅적한 시간이 이어졌다. 반면 부두에 정박한 쇄빙선 폴라스턴호에는 이전에 경험해본 적 없는 분위기가 감돌았다. 60여 명의 과학자와 40여 명의 ...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멀리 있는 외계행성을 어떻게 찾는지 알아보셨다고요. 그렇다면 이번엔 가까운 동네를 살펴보는 건 어떨까요. 항성계에는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골디락스 영역)이 있습니다. 너무 춥지도 뜨겁지도 않아 이론적으로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죠. 태양계에선 그 영역의 중심에 생명체 ... ...
- 해마다 찾아오는 동물 전염병, 살처분 대신 백신 접종 고려할 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사람들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로 두려움을 떨고 있는 때, 농가의 닭들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위기에 처했습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는 2003년 국내 처음으로 발생한 이후 지속해서 발병해 왔습니다. 2018년 3월 발생 이후 잠시 소강기를 거친 뒤 지난해 11월 26일, 2년 8개월만에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판가름할 수학적 기준을 정하는 일도, 그런 불공정을 조절할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일도 각 개발자들의 판단에 따르기 때문이다.그래서 개발자들이 공정함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법적·정책적 제도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윤리’는 일종의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렸을 적 내가 가장 좋아하던 잡지는 ‘보물섬’이었다. 두툼한 만화잡지가 주는 포만감은 다음 호가 나오길 손꼽아 기다리게 했다. 중학교에 가면서 자연스럽게 그 자리를 대체한 잡지가 과학동아였다. 우리 집 화장실에는 언제나 과학동아가 있었다.물리나 공학보다는 생물학과 식물, 동물 관 ... ...
-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작? 하나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전 세계 척추동물 개체군의 68%가 사라졌어. 지난해에만 31종의 생물이 멸종했다는 슬픈 소식도 들려왔지. 지구에 사는 종이 짧은 기간에 대폭 감소하는 ‘여섯 번째 대멸종’이 진행 중이라는 이야기도 들려. 그런데 여섯 번째 대멸종이 뭐냐고? 여섯 번째 대멸종은 진행 중!과학자들은 여섯 번째 ... ...
이전296297298299300301302303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