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출귀몰 조류 인플루엔자(AI)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간섭무늬 간격에 비해 충분히 두꺼운 감광층을 가진 감광재료를 써서 입체적으로
기록
한 홀로그램평면적(1층)으로 되어 있는 초LSI소자를 입체적으로 쌓아 올려 집적도(集積度)를 비약적으로 높인 회로소자 다층구조소자(多層構造素子)라고도 한다 전신의 피부나 점막 등이 일반적으로 변화를 ... ...
조선시대의 로켓 '신기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데 큰 역할을 했던 절제사 이징옥은‘적에 대응하는데 있어 가장 긴요한 무기’라는
기록
을 남기기도했지요. 임진왜란 때에도 조선 육군이 반격을 하는 데 큰 힘을 발휘했습니다. 왜군의 주무기였던 조총의 사정거리가 200m도 안 되었던 것에 비해 1000m가 넘는 사정거리를 자랑했고 그 위력도 조총과 ... ...
바닷속 누비는 우리 수중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마리아나 해구에서 수심 1만 916미터까지 잠수하는 데 성공하는
기록
을 세웠어요. 이
기록
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지요. 해미래와 같은 6000미터급 무인잠수정의 경우, 미국은 이미 1990년대 초 우즈홀 해양연구소가 제이슨과 메디아를 개발했으며 2002년에는 제이슨 II를 개발했어요. 또 프랑스 ... ...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독일의 본 천문대의 지름 72mm 망원경을 사용하여 관측 가능한 모든 항성의 위치와 밝기를
기록
한 성도와 성표 1859~86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경도(經度)를 기산(起算)하는 기점이 되는 자오선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므로 그리니치 자오선이라고도 하며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리니치 천문대에 ... ...
올림픽 하늘에 뿌리는 눈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수 mV의 정지 전위가 있어 망막에 빛이 들어가면 수백 μV의 천위 변동이 일어난다이것을
기록
하는 장치를 망막전위계, 묘기(猫記)한 것을 망막전위도(ERG ; electroretinogram)라고 한다측정에는 각막표면 마취하에 콘택트렌즈형의 전극을 장치하고 다른 한편의 전극을 귓볼에 부착하여 차동(差動)진폭기로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미세한 틈인 시냅스를 건너뛰어야 한다. 장애물 경기에서는 허들을 빨리 넘을수록
기록
이 단축되듯이, 뇌 속에서는 전기신호가 얼마나 빨리 시냅스를 통과하느냐에 따라 ‘두뇌회전’ 속도가 결정된다. 4689 곱하기 52는? 답이 늦어지는 만큼 입력된 전기신호가 시냅스에서 머뭇거린다는 의미다.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태권V는 서울 관객만 18만명(76년 당시 한국영화 역대흥행 순위 2위)을 동원하며, 흥행
기록
을 세운다. 당시 수많은 아이들이 마징가Z에 흠뻑 빠졌을 때, 김청기 감독은 어린이들이 한국인이 만든 로봇에 열광하는 것을 머리 속에 그리면서 태권V를 구상한다.마징가Z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는 없었지만 ... ...
백포도주 즐긴 투탕카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것이 연구팀의 주장이다. 지금까지 이집트에서는 3세기에서야 백포도주가 이용된 것으로
기록
돼 있어 이번 발견은 이집트에서 백포도주의 역사를 1600년이나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커서를 생각에 따라 움직이는 정도지만 정확하지는 않다. 두피에 붙인 전극을 통해
기록
하는 뇌파가 인간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표현해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두개골에 구멍을 내고 최대한 대뇌피질 가까이 전극을 꽂는 기술이 있다.10년 전부터 운동정보를 처리하는 ... ...
24년 터울 커플, 허긴스와 마거릿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플루타르코스가 ‘개기일식 중에 태양의 가장자리에서 화려한 반짝임을 볼 수 있다’고
기록
한 정도다.코로나 연구를 시작했던 최초의 과학자는 독일의 천문학자 케플러였다. 그는 태양과 달의 궤도를 연구하면서 일식 중에 코로나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또 코로나는 갑자기 생기는 것이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