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상
추억
추상
회포
회고
환기
이지
d라이브러리
"
기억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먹을 것 구하기 위해 두뇌 발달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열매를 맺는가를
기억
해두지 않으면 안된다. 또 그 나무까지 찾아가는 길을 생각하고
기억
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이같이 먹이를 둘러싼 문제로부터 영장류 특유의 몸에 비해 큰 뇌가 진화해왔다는 캘리포니아대 버클리교 인류학 교수인 캐서린 밀톤에 의한 주장이 논문으로 나왔다.실제로 과일을 ... ...
PART 1. 문답으로 알아보는 그래픽 상식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정도의 색을 사용한다면 거의 사진과 같은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다.그러나 이것은
기억
장소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므로 보통 VGA모니터에서는 16가지의 색깔인 4비트 컬러(${2}^{4}$)를 사용하거나 8비트 컬러(${2}^{8}$)인 2백56컬러 정도만을 표현한다. 따라서 정밀한 색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간단해 보이는 이 등식을 증명하기 위해 열을 쏟던 수학자들에게 올해는 역사적인 해로
기억
될 것이다. 지난 3백50여년간 많은 수학자들을 골탕먹인 '페르마의 대정리'가 드디어 해결됐기 때문이다.지금 전세계 수학자들의 가장 큰관심은 '페르마정리'가 해결됐다는 소식이다. 지난 6월 23일 미국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모두에 의문이 제기됐고 '
기억
의 분자설'은 거의 신용을 잃게 됐다.머리가 좋다는 것이
기억
력이 우수하다는 뜻만은 아니라는 점은 일반적으로 많은 동의를 얻고 있는 대목이다. 순간적인 판단력이나 두뇌회전의 속도 등만이 해당하는 것도 아닐 것이다. 그러나 어찌됐건 머리가 좋은 사람과 그렇지 ... ...
강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법규 덕으로 최근 몇 년 동안 강은 매우 깨끗해졌다. 필자도 항구에서 악취가 나던 때를
기억
하고 있지만 더 이상 그렇지 않다.이 항구가 더이상 아무것도 살 수 없는 오염된 곳이 아니게 된 것은 좋은 일이지만, 이 때문에 또 다른 부작용도 생기게 되었다. 이 '깨끗한'항구에는 구멍벌레라고 불리는 ... ...
장기
기억
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성은 길 그 자체를 여성보다 빨리
기억
하지만 지형지물은 잘
기억
해내지 못한다. 남성의 경우 거리라든가 방향이라든가 하는 공간적인 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 ...
PART 1 PC 이용해 '정보마인드' 키우자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파일이 저장된 디스켓만 잘 보관하면 수첩을 정리할 필요도 없고, 필요한 각종 정보를
기억
에 의존하지 않고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일은 일일이 적지 않아도 매일 자동으로 상기시켜주며 정보의 갱신과 검색도 수첩을 뒤적이는 것에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고 편리하다. ... ...
뇌와 마음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인간의 상상력과
기억
, 감정 등은 어떤 경로로 뇌에서 생성되는 것일까. 무게 약 1천4백g, 신경세포 1천억개로 이루어진 뇌의 신비는 어디까지 밝혀져 있는가. ...
정신분열증은 지각장애, 우울증은 감정기능 불균형서 비롯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및 국가복지차원에서 가장 절실히 부닥치는 문제다.임상적인 특징은 지적능력 특히
기억
력 장애가 처음으로 나타나며 사회 및 직업적 기능에 장애가 동반된다. 병이 진행되면서 판단력 장애가 동반되며 심하면 행동장애 및 충동 조절의 장애가 온다.흔한 원인으로는 뇌조직의 퇴행, 변성 또는 노화 ...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5 전쟁이 끝난 직후였다. 서울대 문리대 정문 앞에 선 우리들 여섯은 젊고 팔팔했다. 지금
기억
으로 이 사진을 찍은 날 대학에서 세미나를 마치고 오랜만에 만나 누군가 갖고 있던 카메라로 순간을 담은 것같다.1953년 졸업한 서울대 물리학과 7회 동기생중에는 3총사가 있었다. 박심춘 김종오 윤택순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