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림환경연구소 나무를 위한 맞춤병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물을 안 주면 죽는 것 아니었나요?나무도 병에 걸린다는 말은 처음 들어요.나무도
생물
인 만큼 병에 걸릴 수 있어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감염될 수도 있고, 해충 때문에 병에 걸릴 수 있지요. 특히 외국에서 들어온 해충은 천적이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 나무에 큰 피해를 입힌답니다. ‘소나무의 ... ...
나는 대한민국 수학 국가대표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사는 사람처럼 보일 수 있겠단 걱정이 들어요. 잘 못하는 과목도 있지 않겠어요? 영진
생물
이요. 외워야 할 것이 많더라고요.재원 저는 사회요. 정치경제에는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느껴지는 게 많아요.준오 저는 미술을 잘 못해요.승섭 국사요. 암기 과목은 아무래도….성기 저도 국사에 한 표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어야 한다. 여전히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비소 박테리아가 특이한 환경에 적응한 극한미
생물
이라고 생각한다. 울프-사이먼 박사팀이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후속 연구를 보여줄 수 있을지, 아니면 새로운 연구팀이 비소 박테리아를 분양 받아 검증할 수 있을지 계속 지켜봐야 한다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내년 봄 첫 운반 도전빙산에 차단막을 두르거나 그물로 빙산을 끌어당기는 과정에서 해양
생물
이 피해를 입는 일은 없을까. 700만t이나 되는 빙산 때문에 주변 수온이 낮아질 경우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무쟁 씨는 “노(no)”라고 결론부터 얘기했다. 빙산에 두르는 차단막은 빙산 ... ...
스트레스가 더 좋은 부모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가 높으면 부모역할을 잘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즈 퀸즈대
생물
학과의 프란시스 모니어 교수는 암컷 청둥제비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수치를 측정했다. 이 호르몬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한 종류다. 그 결과 둥지 크기가 두 배인 암컷의 호르몬 수치는 다른 ... ...
비슷한 종이 더 빨리 멸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린 지앙 교수는 “이 방법을 다른
생물
에도 적용해 생태계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물
들의 진화 과정을 밝힐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생태학편지’ 6월 14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담는다. 그 뒤 혀를 당기면 ‘혀 국자’에 담긴 물이 입안으로 들어 간다고. 과연 그럴까.
생물
학 학술지인 ‘바이올로지 레터스’ 5월호에는 개가 물을 마시는 법에 대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이 연구를 한 미국 하버드대 크롬프톤 교수는 사실 오랫동안 동물의 물 마시는 법을 연구한 이 분야의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대표적 환경호르몬(내분비계 교란물질)이다. 환경호르몬은 인간이 만든 화학물질이
생물
에 흡수돼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한다는 데서 나온 이름이다. 호르몬은 생체의 특정 세포에서 만들어져 분비된다. 호르몬은 멀리 떨어진 표적 세포까지 혈액을 타고 가 생화학적 효과를 낸다. 어떤 호르몬은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는지 밝히는 학문을 ‘화학유전체학’이라고 한다. 약학을 전공한 정 교수와 세포
생물
학을 전공한 윌리엄스 교수가 각 학문의 한계를 서로 보충하며 연구를 지도하고 있다.“화학물질의 작용 기작을 확실히 규명하면 약의 부작용을 미리 알 수 있습니다. 또 새로 찾은 화학물질이 기존 치료제와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 기법은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정 유전자가
생물
안에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전자 분석 방법이다.그 결과 베렌바임 교수 연구팀은 농약에 반응하는 유전자와 면역을 담당하는 유전자는 CCD와 큰 연관이 없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대신 CCD에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