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라인
철사
덕
케이블
전선
line
d라이브러리
"
선
"(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알아냈다. 즉 계속해서 우주가 부풀고 있다는 증거를 포착한 셈이다. 이는 팽창하는 풍
선
의 각 점이 서로 멀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만약 우주가 시간과 더불어 부풀어 간다면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 공간은 한 점으로 줄어들 것이다. 실제로 우주는 한 점에서 1백50억~2백억년 전에 폭발한 뒤 계속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서양인들이 동양에 대해 알고 있었던 것보다 더 깊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이 지도는 조
선
학자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사실상 유일한 세계지도다. 그것은 당시의 세계지리학의 지식을 결산한 것이었고, 17세기에 마테오 리치가 세계지도인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를 만들어내기 전까지는 ... ...
수출부진과 내수폭발의 희비쌍곡
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적자를 기록하는 첫해가 될 지도 모른다. 열쇠는 기술개발투자에 의한 신제품을 적기에
선
보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수출은 고사하고 내수까지도 교육용 컴퓨터 붐이 수그러드는 92년쯤에 가서는 비록 외형적으로는 유통업의 정착, 성숙시장 진입 등이 가능하더라도 정작 물건을 팔기에는 힘겨운 ... ...
자장(磁場)이 여아(女兒) 출생비율 높여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메이 히로다케(亀井裕孟) 분자물성연구실장.그의 주된 연구테마는 X
선
단층촬영장치(CT)에 대신하여 자장을 이용한 CT를 개발하는 것. 강력한 자장을 취급하는 남녀 연구원들이 많기때문에 자장과 남녀의 출생비율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그는 핵자기공명장치(NMR-CT)나 핵융합 등 강력한 자장을 ... ...
핵폐기물 처리 완벽한 기술 아직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 없다. 저장용기가 완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목성탐사
선
(갈릴레이)이나 태양탐사
선
(율리시즈)등이 우주공간에 자가발전용으로 쓰고 난 핵폐기물을 버린다고해서 미국 유럽 등지에서 환경단체 주도의 반대데모가 일어나기도 했다. 우주투기는 이런 문제점과 아울러 비용도 엄청나기 때문에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비록 상품화된 것은 손가락에 꼽을 정도지만 실험실의 수많은 유전공학제품들이 「내일」을 기다리고 있다.해바라기 콩, 슈퍼생쥐, 포마토 등 ... 해도 과언이 아니다.지금은 우리가 80년대에 이룩한 기술기반을 바탕으로 유전공학기술
선
진대열에 손색없는 제2의 도약을 시도해야 할 때다 ... ...
컴퓨터
선
생님 노릇 고달프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정보산업 이라는 교과목이
선
택과목으로 신설되어 있으나 올해는 시행 첫 해이기 때문에
선
택한 학교가 극히 드물어 언급하지 않겠다.현재의 교과서 내용은 컴퓨터를 공부하기에는 너무나 빈약하다는 평가가 많다. 물론 시행 첫 해이기도 하고 워낙 컴퓨터 분야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단편적인 ... ...
생체냉동 청원 기각한 미국 병원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냉동시키는 기술은 이미 1967년부터 시행되었다. 현재까지 전세계 냉동인간 수는 수백명
선
이며 미국에는 냉동인간을 만들어내는 회사까지 생겼다.냉동수술은 신청자의 사망이 확인되면 곧바로 시작된다. 이 때 머리만 냉동하는 경우는 미래에 새로운 몸에 부착된다는 조건이다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실적도 없고 능력도 없는 우리 입장에서는 '참여불가'가 아닌 '신중한 참여'의 입장을
선
택해야 한다. SSC참여를 무임승차라 생각하고 가속기 입구에 태극기 하나 걸어주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되며 돈과 인력을 댄만큼 철저히 배워와야 한다"는 것이 국내 물리학자들의 대다수 의견이다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좁은 공학도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는 이런 현실에 기인한 것이다.결국 첨단학과의
선
택은 단순히 취업전망이 좋다는 이유만으론 부족하며 자신의 적성과 의지가 결합돼야 한다. 또 입학 이후에도 기초 이공(理工)학문의 연마를 철저히 해 급속히 변화하는 기술전쟁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