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 소식] 왜소은하 찾고, 시민과학자가 되어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진을 보고, 왜소은하로 보이는 천체를 직접 고르는 거예요.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많이 쓰지만, 크기가 작고 흐릿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엔 인공지능으로 부족하거든요. 우주를 좋아하는 어과동 친구들이라면 누구나 환영해요! 참여 방법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star.dongascience ... ...
- [통합과학 교과서] 범인 호랑이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달라졌어요. 하지만 머리카락이 얼마나 천천히 자라는지는 확인하지 못했죠. 이를 위해서는 같은 시기에 유전자가 같은 일란성 쌍둥이 중 한 명은 지구에, 다른 한 명은 우주에 체류해 비교하는 방법이 필요해요. 그런데 쌍둥이 실험에 참여한 스콧 켈리와 마크 켈리가 대머리인 탓에 분석할 수 ... ...
- [매스크래프트] #5. 퓨처랜드 놀이공원, 줄 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기다림을 재미로 바꾸는 다양한 서비스사실 놀이기구의 대기행렬 모형을 만들기 위해선 놀이기구를 타고 떠나는 사람의 수보다 놀이기구를 타려고 오는 사람의 수가 더 적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해요.하지만 나들이 철 인기 놀이기구에는 타려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에 대기행렬 모형을 적용할 ... ...
- [이달의 수학자]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자, 마리암 미르자하니수학동아 l2020년 05호
- 미르자하니는 안타깝게도 2013년 유방암 진단을 받았습니다. 투병 중에도 필즈상 수상을 위해 서울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 참가하는 등 열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 암세포가 골수로 전이되면서 2017년 향년 4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 ...
- 텔레그램에 숨은 범죄자를 어떻게 찾아내나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일일이 분석해야 해서 분류 속도가 느렸고, 정확도도 23%에 불과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카오는 이미지 처리에 탁월한 성능을 보이는 ‘합성곱 신경망(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구현했다. 합성곱 신경망은 이미지를 작은 크기로 나눈 뒤 이들 영역마다 일정한 연산을 수행한다. 그리고 ... ...
- 스피어x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것 같은 이 임무는 발상의 전환에서 시작됐다. 많은 천문학자가 우주를 ‘깊게’ 보기 위해 열중해 있을 때 우주를 ‘넓게’ 보려는 시도를 한 것이다. 깊게 보면 한 영역, 혹은 한 천체를 매우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지만, 우주 전체를 관측하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스피어x는 우주를 넓게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로봇은 지진 현장처럼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재난, 재해 현장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윤 교수팀은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과 공동으로 재난구조 환경에서 복잡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뱀 로봇을 개발 중이다. 윤 교수는 “건물이 무너진 상황에서 좁은 공간을 뱀처럼 부드럽게 이동하는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변화를 기록한다. 총 36개월 동안 수집한 자료는 현재 분석 중이다. NASA의 우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극한 환경 임무 수행 훈련 프로그램인 ‘니모(NEEMO·NASA Extreme Environment Mission Operations)’도 성공적으로 마쳐야 한다. 니모는 바다 한가운데 잠수함 기지에 머물면서 우주유영, 자원 채굴 등의 미션을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활용합니다. 전 세계 감염자가 200만 명을 돌파한 위기상황에서 치료제를 빨리 개발하기 위해 시판되는 약 중에서 적용 가능한 물질을 찾아내는 거죠. 현재 국내외에서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인 ‘칼레트라’를 예로 들기로 했습니다. 칼레트라는 원래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AIDS) 치료제입니다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가령 첫 번째 질문인 ‘성층권까지 높이 뛰는 방법’에서 저자는 성층권으로 점프하기 위해 장대높이뛰기부터 시작한다. 중력가속도와 뛰는 속도, 뛰는 사람의 신장, 신체에서 중력 중심의 위치 등을 계산해서 뛸 수 있는 최대 높이는 6.07m라고 결론을 낸다. 지상 10~50km 구간인 성층권까지는 턱없이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