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효과"(으)로 총 3,5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 사회심리] 자기 비하가 심하면 사랑도 멀어진다2017.12.09
- 받는 사람이 상대의 노력을 인식할 때, 자신이 사랑받고 있다는 사실을 지각할 때 비로소 효과를 보이게 된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일례로 자기 비하가 심하고 스스로에게 가혹한 편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신의 연인이 얼마나 믿을만한 좋은 사람인지, 또 얼마나 자신을 아끼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2017.11.21
- 복용한 게 언제인지도 모를 정도인 필자도 이참에 한 번 시도해봐야겠다. 이왕이면 항암 효과도 있는 니타족사나이드로.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정보를 주는 메커니즘은 오래 전에 진화했다는 말이다. 반면 우리가 느끼는 색의 심리적 효과는 영장류가 3색형 색각(trichromacy), 즉 원추세포의 포톱신(photopsin)이 세 가지(각각 파랑, 녹색, 빨강 파장에 가장 민감)로 나뉜 이후에 진화했을 것이다. 문득 불교에서 명상 상태를 가리킬 때 쓰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부종 등 여러 증상에 대해 쓰였다. 아마도 벨기에의 자연요법의사가 한방기가 살을 빼는 효과가 있다는 얘기를 듣고(붓기를 빼주는 것과 관련이 있을까?) 다이어트 약물 처방에 추가했을 것이다. 한편 유럽 발칸반도의 나라들인 세르비아,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에서도 일종의 ...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 토목 환경공학과 셰인 로저스 교수는 불가사의한 경험과 곰팡이 포자의 환각 유발 효과 사이의 관계를 관찰했습니다. 통풍이 안 되고 공기 질이 좋지 않은 오래된 낡은 건물에서 주로 유령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데요. 기존에 보고된 대다수의 유령 체험은 독성 곰팡이에 노출된 ...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2017.10.28
- 현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해당 연구에서는 양육자의 50% 정도가 매가 가장 효과적인 양육법이라고 답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매보단 부모 쪽의 사랑과 이해심, 끈기, 차분함, 대화를 통한 설득이 아이들을 더 행복하고 사회성 좋은 아이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했다. 폭력이 ...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동아사이언스 l2017.10.22
- 화장품으로 사용했을 때 콜라겐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노화 방지와 피부 리프팅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단 의미다. 의학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인체의 단백질과 유사하다는 장점을 활용해 가슴 성형 보형물이나 인공근육을 개발하려는 것이다. 또 탄력이 좋기 때문에 손상된 심장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자체의 질이 높아지는 건 물론이고 플라시보 효과도 최대로 누릴 수 있고 반면 노세보 효과는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서울대병원이야 국립이니 이렇게 하다 적자가 나도 세금으로 메워주니 무슨 걱정이냐는 냉소적인 시선도 있지만 방향은 제대로 잡은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처방이 흔하지만 의외로 아무도 그 효과를 증명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런 게 정말 효과가 있는 것인지 의문을 품었다. 연구자들은 한 조건의 사람들에게는 ‘나는 사랑받을만한 사람이다’라는 문장을 16회 정도 반복하도록 했고 또 다른 조건의 사람들에게는 그런 지시를 하지 않았다. 이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 1921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난 벤저는 1947년 퍼듀대에서 고체물리학 연구(게르마늄의 광전효과)로 박사학위를 받고 바로 교수로 임용됐다. 그런데 우연히 에르빈 슈뢰딩거의 책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감명을 받아 교수직을 미련 없이 버리고 칼텍의 막스 델브뤽 교수 실험실에 ... ...
이전2972982993003013023033043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