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5차례 텔레비전 생중계소유즈 우주선이 지구를 30바퀴 돌았을 때 쯤 다시 우주복을 입고
자리
에 앉아 도킹 준비를 한다. 창밖으로 ISS가 보인다. ISS에 가까워지자 서로 속도가 같아져서 움직이지 않는 것 같다. 초속 20cm의 느린 속도로 ISS에 접근하다가 ‘퉁’ 소리를 내며 도킹에 성공.우리나라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데 논문 내 졸업하기 쉬운 실험실’을 찾아다닌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일
자리
를 잡을 때에도 박사 과정 또는 박사후 과정 때 어디에 논문을 냈느냐가 결정적인 요인인 게 현실이다. 또 교수나 연구책임자가 된 뒤에도 연구비를 따내기 위한 연구계획서를 제출할 때 유명저널에 낸 ... ...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사람이 악기 하나쯤은 익혀야 한다고.”지난 2월 말에는 연구실 출신들이 함께 모인
자리
에서 성 교수는 4년간의 연구활동을 발표한 뒤 대학원생들과 함께 콘서트를 열었다. 그는 가끔 제자의 가족들을 초청해 연주회도 갖는다. 한 번은 학교 내 엔지니어하우스 대강당을 빌려 콘서트를 열었고, 다른 ... ...
오리온
자리
의 '말머리성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김일순(37) 씨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김 씨는 지난해 말 강원도 횡성군에서 오리온
자리
의 암흑성운인 ‘말머리성운’을 찍은 사진을 출품했다. 심사위원장인 이용삼(천문우주학) 충북대 교수는 “대상작은 빨강(R)·초록(G)·파랑(B) 필터 외에 특수필터(Hα 필터)를 사용해 말머리처럼 우뚝 ... ...
지상을 박차고 우주로 비상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로켓연구회의 동아리방은 활주로를 따라 걷다보면 보이는 커다란 비행기 격납고 옆에
자리
잡고 있었다.“초등학생 때 만들던 물로켓을 떠올리면 섭섭하죠. 엔진은 철을 가공해 직접 만듭니다. 자동으로 고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카메라를 로켓에 부착해 로켓이 몇 m까지 올라갔는지, 상공의 풍경이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물 분자가 수증기로 날아가 홈이 비게 된다. 이
자리
에 인디고 분자가 들어간다.일단
자리
를 잡으면 팔리고스카이트 결정과 인디고 분자는 서로 단단히 결합해 웬만한 외부자극에도 꿈쩍하지 않는다. 한편 팔리고스카이트 결정의 영향으로 인디고 분자의 전자 분포가 바뀌면서 짙은 청색에서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뒤 천정 근처에서 약 -4등급 까지 밝아진다. 그리고 2분 뒤 사자
자리
를 거쳐 동쪽 하늘 컵
자리
에서 -2등급 밝기에서 사라진다. 이소연 씨가 ISS에 머무는 동안 맨눈으로 ISS를 볼 수 있는 시각과 밝기를 아래 표와 성도에 정리했다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점차 껍질이 찢어지고 그 속에 있던 포자가 빠져나온다. 결국 길가에 빗물이 흐른
자리
를 따라 버섯이 자란다.포자를 대포알처럼 쏘는 버섯도 있다. 진주버섯은 성장하면 겉껍질이 갈라져 별 모양을 이루는데, 안쪽에 진주알 모양의 소피자를 만들고 그 내부에 포자덩어리를 만든 다음, 소피자를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틈에는 말라서 쪼그라진 암컷의 시신이 있다. 날이 따뜻해지면 알을 깬 애벌레들이 그
자리
를 채운다. 생명체가 살 수 없을 것 같은 삭막한 겨울 숲에서 다음 세레나데를 위해 겨울자나방은 또 나뭇잎을 갉아 먹는다.겨울자나방은 왜 결혼 시즌을 겨울로 택했을까? 생존은 곧 전략이다. 그들 삶의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공동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지만, 3년 뒤 마차사고로 남편을 잃었다. 마리 퀴리는 남편의
자리
를 물려받아 소르본대의 첫 번째 여교수가 됐고 계속 연구에 몰두해 1911년 다시 노벨상을 받았다.과학연구에 헌신하면서도 마리 퀴리는 두 딸 이렌느와 에브를 제대로 키우기 위해 소르본대 교수의 자녀와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