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CSI 수사체험 ‘피의 흔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혈흔 분석 담당대원은 먼저 육안으로 혈흔의 모양, 부착
형태
등을 확인하는데 혈흔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을 때는 루미놀 용액을 사용한다. 루미놀은 혈흔이 있을 것이라고 짐작되는 곳에 용액을 분무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혈흔이라고 의심되는 것,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계속해 휩쓸고 지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급격히 기후가 바뀌는 환경에서는 특수한
형태
의 생물종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육지에 사는 거대한 오징어인‘코끼리오징어’의 등장은 대표적인 예다. 대멸종으로 사라진 척추동물을 대신해 오징어 같은 두족류가 뭍으로 ... ...
한방과 양방으로 다스리는 척추측만증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과거에는 부피가 큰 환
형태
로 약을 만들었지만, 지금은 양방에서처럼 태블릿(알약)
형태
로도 만든다.새로운 농축 방법을 개발한 덕분이다. 풍한습비환에 들어가는 약재들은 물에서 직접 추출하기가 어려워 알코올에서 90℃로 끓였다. 그 뒤 몇 가지 약재는 분해하고, 몇 가지는 일반 약재처럼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당초 과학자들의 예상과는 달리 쿼크와 글루온의 상호작용이 매우 약한‘뜨거운 가스’
형태
의 플라즈마가 아니라, 상호작용이 꽤 있는 액체 상태인‘쿼크-글루온 수프(quark-gluon soup)’로 나타났다.이 사실은 중입자 충돌 뒤 생긴 고에너지 입자들이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분출되는 현상을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비롯한 진실성 판명은 가장 중요한 문제다. 올해부터는 모든 문서를 온라인상에 파일
형태
로만 접수받기로 했다. 인터넷에 떠도는 자기소개서나 각종 샘플과 대조해 위조 여부를 쉽게 판독하기 위해서다. 또한 서류상으로는 100% 알 수 없는 부분을 면접에서는 판별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면접을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결함, 근육의 민감도, 혹은 타이핑 능력과 같은 개인의 특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형태
죠. 엄지손가락을 많이 쓰는 사람은 자주 쓰는 키를 엄지손가락 주위로 재배치시켜 줘야 합니다. 아직 이론으로 연구하는 단계지만 곧 실제 레이아웃을 만드는 단계까지 발전할 겁니다.”오류를 허용하는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재료로도 각광받고 있다.최근 연구실에서는 블록공중합체로 만든 고분자를 박막
형태
로 개발했다. 이 고분자막은 연료전지 재료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나피온’보다 성능이 뛰어나면서 가격은 훨씬 저렴하다. 나피온은 80°C 이상의 고온에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연료를 투과시키는 현상이 나타나 ... ...
소녀시대는 왜 9명일까?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보니 다른 멤버들도 멀리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다.여성시대2는 ‘7=2×3+1’로 검산식의
형태
로도 나뉘었다. 한 명이 노래를 부르면 다른 6명은 2명씩 3팀 또는 3명씩 2팀으로 나뉘어 안무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들은 7명이지만 9명인 소녀시대 못지않게 무대를 넓게 사용했다. 각 멤버가 부르는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소음을 측정하는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실시간으로 측정된 소음정보는 구글지도
형태
에서 소음 수준이 나타난다. 현재 파리를 중심으로 노이즈튜브(noisetube.net) 프로젝트를 공개하는 한편, 세계 여러 도시와 연계해 소음지도를 만들고 있다. GPS센서가 내장된 스마트폰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걷는 침팬지보다 에너지를 덜 쓴다. 폰처 교수는 이를 근거로“사람이 직립보행하는
형태
로 진화한 이유는 에너지 절약 차원”이라고 주장한다. 폰처 교수 주장의 사실 여부를 가리기는 힘들지만 사람이 두 발로 걷기 시작하면서 에너지 소모를 줄이려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부분은 어느 정도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