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스페셜
"
새로운
"(으)로 총 3,254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게 확인되면서 ‘마이오카인(myokines)’, 즉 근육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이라는
새로운
물질군이 등장했다. 현재는 다양한 물질이 마이오카인 또는 마이오카인 후보로 올라와 있다. 지금까지 가장 연구가 많이 된 IL-6의 작용을 잠깐 살펴보자. 운동을 하면 혈장내 IL-6 수치가 최대 100배까지 ... ...
산기협, 2013년판 산업기술백서 발간
KOITA
l
2014.02.14
지식재산권 확보 현황 등을 다뤘다. ○ 제3장 ‘산업기술지원정책’ 편에서는 2013년
새로운
성장동력과 창조경제 구현 그리고 국가R&D사업 추진방향의 변화 등을 제시하였다. ○ 한편, 제4장 ‘산업기술개발동향’ 편에서는 가전·반도체·자동차·컴퓨터·소프트웨어·신재생에너지 등 총 18개 ... ...
13대 미래성장동력 선정 "융·복합으로 산업 고도화"
KOITA
l
2014.02.13
11월 발족했다. 200여개 미래 유망산업 분야를 검토해 대·중소기업이 함께 성장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 가능성이 높은 13개 분야 미래성장동력을 선정했다 ... ...
잊을만하면 찾아오는 조류독감, 그 이유는?
KISTI
l
2014.02.04
유행했다. 그 이유는 대규모 죽음 뒤에 찾아오는 베이비붐으로 인해 면역력이 없는
새로운
인간 숙주들이 일정 규모를 갖추는 시기와 맞물렸기 때문이다. 잔인한 페스트의 대유행은 결국 다음 숙주를 만날 기회가 드물어지는 수준까지 인구가 급감한 뒤에야 사라지게 됐다. ∎ 공장식 축산업, 과연 ... ...
조류독감바이러스, H5N8과 H7N9의 경우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사이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지만 사실 중국에서는 지난 봄
새로운
조류독감이 등장해 문제가 되고 있다. 바로 H7N9형 바이러스다. 이 조류독감은 사람도 감염하는데 지난 해 3월 첫 환자가 보고된 뒤 여름에 수그러질 때까지 135명의 환자가 보고됐고 이 가운데 45명이 ... ...
[keyword로 읽는 과학]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르게, 라이파이
KISTI
l
2014.01.16
LED 불빛 아래 서면 영화 한 편을 모바일 메신저 한 글자처럼 빠르게 보낼 수 있는 세상이 온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의 합작벤처인 ‘초병렬 가시광통신 프 ... 이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조명과 통신이 융합된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다. ... ...
도청의 세계② 창과 방패로 얽힌 도청·방지기술
KISTI
l
2014.01.09
몰래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전원을 꺼놓아도 도청이 가능하다. ▪ 방지기술을 만들면
새로운
도청기술이 탄생한다 도청 기술이 지능화되면서 도청 여부를 알아내거나 막는 방법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도청을 막는 방법은 도청 기술에 따라 다르다. 목소리를 엿듣는 도청은 주변에 강력한 ... ...
파란 말은 없지만 파랑새는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구조색만으로 이뤄진 파란 깃털이 보인다. - 위키피디아 제공 때로는 자체적으로
새로운
색소를 합성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앵무새의 경우 프시타코풀빈(psittacofulvin)이라는 빨간색에서 노란색 범위의 색을 내는 색소를 생합성할 수 있다. 앵무새 깃털의 선명한 빨간색이 바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즉 1937년과 1960년 발표한 연구업적으로 1991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았다. 주류 경제학이
새로운
관점을 받아들이는 게 쉽지 않은 과정이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코스는 1964년부터 1981년 은퇴할 때까지 시카고대에 적을 뒀는데, 경제학과가 아니라 법대 교수였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AFM) 등 탐침을 이용해 표면의 구조를 밝히는 장비가 개발되면서 나노분야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로러와 비니히는 STM을 개발한 공로로 주사전자현미경을 발명한 에른스트 루스카와 함께 1986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네이처’에 부고를 기고한 IBM연구소의 크리스토프 거버 박사는 글 말미에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