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으)로 총 3,525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장내미생물이 피부암 치료에 도움 준다동아사이언스 l2018.01.07
- 크기는 느리게 성장했다. 반면 면역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에게서 장내미생물을 받은 쥐 세 마리 중 단 한 마리만 종양이 느리게 성장하고 나머지 두 마리는 빠르게 성장했다. 이번 연구를 지도한 토마스 가예프스키 교수는 “이번 결과는 미생물이 종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이끌어 내는 주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2018.01.02
- 우유 표면으로 바로 커피를 부어 전체적으로 너무 많이 섞여버린 게 원인으로 보인다. 세 번째는 동영상처럼 숟가락을 잔 안쪽에 대고 여기에 살살 부어 흘러내리게 했다. 우유나 커피의 온도가 논문보다 좀 더 높아서인지 10분쯤 지나서야 층이 분명히 보였다. 길고 좁은 유리잔에 우유를 넣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2017.12.27
- 고백하고 있다. 또 뮐러아교세포에서 만들어진 19,20-DHDP가 어떻게 내피세포와 주위세포로 이동하는지, 고농도의 19,20-DHDP가 어떻게 지질뗏목의 구조를 파괴하는지에 대해서도 메커니즘까지는 밝히지 못했다. 그럼에도 sEH 효소의 활성을 억제할 경우 당뇨망막병증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은 당뇨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여부를 테스트하기는 어려웠다”며 “오늘날 우리는 이 한계를 인식하게 된 첫 세대”라고 담담히 서술했다. 그리고 미래 과학의 힘에 막연히 기대할 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직시해 이미 도달한 정점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스포츠 활성화 등의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평소 생명과학의 발전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연결과정에서 생명체(효모)의 힘을 빌리기는 했다) 게놈을 빼낸 다른 종의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 기생 박테리아로 살리는 시도가 성공했다. 소위 ‘합성생물학’의 시대를 연 것으로 평가되는 연구결과이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다. DNA만 화학적으로 만들었을 뿐 결과물은 자연의 생물체와 다르지 ... ...
- [사이언스 지식IN] 北 신형 ICBM 화성 15형, 워싱턴까지 타격한다고요? 동아사이언스 l2017.11.29
- 능력은 물론 방어체계를 무너뜨리는 회피 기술까지 갖춰가고 있고요. 한국 뿐 아니라 세계 대부분 국가가 규탄하는 핵개발을 막무가내 식으로 이어가는 북한, 한반도의 평화는 언제쯤 찾아올지 심란한 마음을 감출 수 없네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증가하는 건 아니었다. 즉 아인슈타인은 죽을 때까지도 머리를 많이 썼기 때문에 교세포가 많았다는 얘기다. 지능이 높은 사람들의 뇌의 네트워크 패턴이 다르다는 이번 연구결과를 보며 똑똑함은 타고난 것 보다는 평소 꾸준히 머리를 쓴 결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색의 심리적 효과는 영장류가 3색형 색각(trichromacy), 즉 원추세포의 포톱신(photopsin)이 세 가지(각각 파랑, 녹색, 빨강 파장에 가장 민감)로 나뉜 이후에 진화했을 것이다. 문득 불교에서 명상 상태를 가리킬 때 쓰는 ‘성성적적’이라는 말이 떠오른다. 성성적적(惺惺寂寂)이란 마음이 고요하면서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추정했다. 족도리풀(학명 Asarum sieboldii)의 모습으로, 약재로 쓰이는 뿌리줄기가 세신(細辛)이다. - 위키피디아 제공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특히 약의 경우 ‘천연은 좋고(부작용이 적고) 합성은 나쁘다’ ‘(여러 성분이 섞여 있는 상태인) 식물추출물은 좋고 정제된 약물은 나쁘다’는 편견에 사로잡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2017.10.31
- 버전인 옥시글로빈(Oxyglobin)의 경우 미국과 유럽에서 개에게 적용하고 있다. 헤모퓨어는 세심하게 보관해야 하는 진짜 피와는 달리 상온에 둬도 36개월 동안 안정하고 모든 혈액형에 쓸 수 있고 면역반응을 일으키지도 않는다고 한다. 물론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가 들어있을 가능성도 없다. 그렇다면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