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3,610건 검색되었습니다.
5 유럽을 하나의 정보그늘로 묶는다
과학동아
l
199210
RACE등 유럽 각국이 참여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95년까지 IBCN과 HDTV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미래
사회에서는 정보가 힘이라는 단계를 넘어서, 국가경쟁력을 재는 하나의 척도가 될 전망이다. 이 글에서는 향후 정보통신기술의 발전방향과 유럽이 이에 대비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본다 ... ...
'인간 게놈 염기배열 특허대상 안된다
과학동아
l
199210
남기지 않고 모두 파악하려는 연구가 HUGO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많은 과학자들은 '
미래
의 게놈독점 야망'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HUGO(국제인간게놈해석기구) 미국유전자협회 영국의학심의회 국제학술연합회 등이 나서서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해 노벨상을 ... ...
1 '85년 위성발사 상업화 선언
과학동아
l
199210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뒤떨어져 있다고 판단한 첨단 정보기술의 추격을 위해 국가의
미래
를 걸고 육성에 나서고 있다. 2000년까지 선진국 수준에 근접 또는 추월하는 것을 목표로 국제수준의 기술개발을 위한 핵심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것은 '863계획'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 ...
원자력·의약품 분야에서 단연 선두
과학동아
l
199210
미래
의 기술주도 분야가 될 것이며, 또한 더욱 중요한 사실은 전통적인 기초 기술과
미래
의 첨단기술은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서 첨단 분야의 기술발전은 그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모든 산업분야에 응용되어 기술의 파급효과가 대단히 클 것이며, 이를 수용할 수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10
셈이다. 고속증식로와 '꿈의 원자로'라 불리는 핵융합로는 최첨단 기술이 요구되는
미래
의 원자로다. 슈퍼피닉스 2호도 구상프랑스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고속증식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나라다. 프랑스는 이미 1974년부터 25만kW급 고속증식로 1기를 운전해 왔으며 1986년에는 1백24만kW급 대형 ... ...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10
싶어했다. 노스트라다무스라는 4백여년 전의 한 예언자에게 매달려 그들이 캐낸 인류의
미래
에는 머지 않은 곳에 종말이 놓여 있었다. 1999년 인류가 돌이킬 수 없는 파국을 맞게 된다는 자신들의 해몽을 그들은 굳게 믿었다.베드로전서 3장7절에도 '만물의 마지막이 가까워졌으니 너희는 정신을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10
빅뱅이론보다 훨씬 과학적이라고 주장한다. 더 나아가 그들은 자기들의 예측은 가까운
미래
에 검증가능하다고 주장했다.몇 안되는 관측결과를 가지고 자신들의 모델을 견고하게 하는 과정에서 본디와 골드등의 정상우주론자들은 포퍼의 논의를 좇았다. 포퍼는 과학을 검증가능한 현상을 예측하는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09
발달은
미래
에 전개될 우주문명에 비해 태동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미래
에 전개될 이러한 광대한 우주영역에서 거주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우주정거장이 건설되어 왔다. 현재 미국의 주도로 유럽 일본 캐나다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제 우주정거장 건설 계획은 우주시대 개척의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아름다운 천체의 흐릿한 섬광을 볼 수 있을 것이다.서양의 점성술사들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
의 시대를 '물병자리 시대'(Age of Aquarius )로 이야기하고 있다. 봄은 태양이 황도를 따라 움직이면서 천구의 적도를 가로질러 북쪽 하늘로 들어갈 때 시작된다. 하늘의 이 교차점과 태양이 그곳에 있는 순간을 ... ...
칼 J 신더만 「과학자의 기쁨과 영광」
과학동아
l
199209
감안할 때 과학자 혹은 과학도들이 한번쯤 이 책을 읽음으로써 향후 한국 과학계의
미래
상과 공동연구 체제의 확립 및 연구풍토 개선 등 함께 노력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