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저
높낮이
해발
고도
마루높이
마루
처마높이
d라이브러리
"
높이
"(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정보를 앞유리면에 투영한다. 반사경의 경사에 의하여 앞유리면에서의 상의 표시
높이
를
높이
거나 낮출 수 있는 조정이 외부적으로 가능하다.입체식 계기판의 상이 맺히는 위치는 정면에서 좌측으로 10도의 위치가 가장 적절한 위치이며 이 위치는 도시 거리에서와 같은 복잡한 운전 상황하에서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지방 마야유적도 그런 것 중의 하나다.여기에는 울창한 수해(樹海) 위로 모습을 드러낸
높이
가 40m를 넘는 피라미드와 신전이 있으며 유적 전체를 발굴하는데만 1백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 한다. 이런 것을 미루어 볼 때 이 지역 유적의 규모가 얼마나 거대한가를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유적이 ... ...
뿔마저 빼야 하는 운명 코뿔소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육지의 젖빨이 동물중에서 몸집이 가장 컸다고 한다. 이 코뿔소의 몸길이는 8m나 됐고
높이
가 5.4m에 이르렀다고 하는데 이들은 6천만년 동안이나 대지를 유유히 활보하면서 번영을 누렸다고 한다. 그러나 이젠 모두 옛날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지금의 코뿔소 일족은 바로 코앞에 멸종을 바라보고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7년 전까지 6번의 점섬이 크고 폭발력이 강한 산성 화산 활동으로 장엄한 백두산을 하늘
높이
솟아 올렸다.이들의 화산활동은 간헐성이고 어떤 주기성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번 제14차 분출시기는 예측하기 어렵다. 백두산 천지밑의 높은 해발고도에도 불구하고 온도 높은 온천이 많은 것으로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발사하는 신호시스템이 만들어져 유효거리가 3㎞에 이른 것이다.그 후 야간에 1천5백m
높이
로 비행하는 항공기를 탐지하고 3백m 거리의 인간을 수색할 수 있는 장비도 등장했다.오늘날 가장 발전된 야간감시장비는 장갑차에 적재돼 있다. 열을 증폭시키는 원리를 도입한 대(対)전차무기로 사용되고 ... ...
PART2 탈선의 심리학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행동임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요사이는 개인의 자유를 중요시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높이
평가하는 시대이다. 그래서 "성적인 욕구도 솔직하게 표현해야 한다", 또는 "자기 감정에 솔직해야 한다"는 말로 성적인 문란함을 합리화하려고 든다.하지만 실제로 성적 욕구에 의한 행동은 감정에 충실한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세계기상학의 새로운 장(章)을 여는 역사적인 사건이었다.그러나 이 실록의 기사는
높이
2자 지름 8치의 철제 원통형 측우기를 만들어 빗물을 받아 그 수심(水深)을 잰다는 기본적 방법을 제시·확정하고 있을 뿐이다. 어떤 자(尺)로 언제 어떻게 잰다는 더 구체적 측정법을 제시하지는 않았다.그것을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들어갔다 나오는 나선운동을 한다. 이는 저위도에서의 해들리순환과 같다. 회전속도를
높이
면 원운동이 빨라지다가 어느 값을 넘으면 원운동에 부서지며 흐름이 파동을 친다. 이 파동의 바깥쪽에는 반시계 방향의 와동(渦動, 소용돌이), 안쪽에는 시계 방향의 와동이 발생한다. 와동들 사이에 빠른 ... ...
RISC컴퓨터 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히다치사와 RISC칩 공동개발계약을 맺은 바 있는데 HP가 삼성의 반도체기술 및 생산능력을
높이
평가한 가운데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HP는 83년부터 삼성그룹과 합작, 삼성HP를 통해 계측기및 컴퓨터를 국내판매하고 있다 ... ...
PARTⅠ날로 용도가 확대되는 태양열 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또 부식이 적고 축열조 자체가 열교환기 역할을 하는 점도
높이
평가 되고 있다. 반면 온수생산이나 냉방을 겸할경우에는 불리하다. 공기의 열전달 계수가 작으므로 열교환기가 커야 하고 송풍기의 동력소비가 크기 때문이다.온수난방 시스템의 장점은 열매체가 직접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