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반응이 일어나 포도당이 물과 이산화탄소로 바뀐다. 물론 이때 햇빛을 내지는 않고 대신
에너지
원인 ATP란 분자가 만들어진다. 먹음직스런 면발을 한 젓가락 쥐기 전에 미국이나 호주 들판 어딘가에서(라면 봉지의 원산지란을 보니 ‘면/소맥분(미국산, 호주산)’이라고 써 있다) 자랐을 밀과 곡식을 ... ...
도시를 통째로 옮겨라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일도 없다.정부가 최근 미래전략으로 내놓은 ‘저탄소 녹색성장’ 계획 가운데 ‘폐기물
에너지
화’ 산업은 세미라미스처럼 폐기물 발생량을 0%로 줄이는 도시를 목표로 한다. 미래의 친환경도시는 3R을 기반으로 한 리사이클링시티가 될 것이다.2020년 떠오를 ‘천공(天空)의 도시’ 세미라미스에 ... ...
[물리학]레이저 쏴 인공태양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높이는 자기(magnetic)핵융합 방식을 쓰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역시 지난해 7월 고
에너지
레이저 시설을 대전에 구축하고 레이저 핵융합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 중이다 ... ...
이 시대의 교양인을 위한 생생 물리학 강의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donga.comBOOKS새책지식의 이중주고인석 외 | 해나무 | 292쪽 | 1만 2000원이 책은 기후변화, 대체
에너지
, GMO, 디지털 치매에서 인공지능 로봇까지 이 시대의 주요 키워드 13가지에 대해 포괄적으로 다룬다. 그뿐 아니라 2명의 학자가 1가지 키워드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논쟁형식으로 보여줌으로써 ... ...
[생물]최적의 현미경, 최적의 온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짝지어진 반응에 의해 포도당 대사는 자발적으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을 깁스자유
에너지
와 관계해서 생각해보는 문항입니다. △G의 부호를 보면 반응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생물 예시답안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설거지를 할 때 온수는 꼭 필요한 만큼만 받아서 쓰자. 이런 식으로 물을 데우는 데 쓰는
에너지
만 절약해도 1년에 3만4000톤의 이산화탄소가 줄어든다.프로젝트 4 우리 농산물을 먹자!외국에서 수입한 농산물은 비행기나 배를 통해 왔기 때문에 이미 엄청난 양의 온실가스를 만들었다. 따라서 가까운 ... ...
[생물학]배고픔을 견디는 데도 남녀 차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신경세포는 살아남기 위해
에너지
원인 세포 내 단백질을 파괴했지만 암컷 신경세포는
에너지
원으로 쓰고 남은 지방을 저장했다. 결국 수컷의 신경세포는 세포가 스스로 자신을 잡아먹는 작용으로 죽어갔다.연구팀은 굶주릴 때 살아남기 위해 신경세포가 성별에 따라 반응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이 ... ...
‘단백질구조예측대회’ 2연패한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아미노산 서열을 물리 계수가 잔뜩 들어있는 수식에 대입해 컴퓨터로 풀어 가장 안정된(
에너지
가 가장 낮은) 3차원 구조를 찾는 ‘ab initio’ 방법이었다. 이 교수는 고등과학원에 자리를 잡은 지 얼마 되지 않은 2004년 단백질구조예측대회(CASP6)의 ‘ab initio’ 분야에 나가 8위를 차지한 실력자다 ... ...
[천문우주]베일 벗은 우리은하의 중심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골고루 흩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뿐만 아니라 이 별들에서 나온 강력한 복사
에너지
가 만든 복잡한 섬유구조도 분석할 수 있게 됐다.사진의 왼쪽 위에서 이온화된 수소가스가 만든 거대한 아치구조를 볼 수 있는데, 이 영역에 강한 자기장이 형성돼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 왼쪽 아래 낫처럼 ... ...
휴대전화에서 차세대 수소저장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지나치게 무거운데다가 이들 사이의 금속 결합이 너무 단단해 수소를 다시 빼내는데
에너지
가 많이 들기 때문.1990년대 후반 과학자들은 나노물질에서 희망을 찾았다. 수소를 쉽게 저장하고 다시 분리하려면 가볍고 표면적이 넓은 물질이 필요했다. 가벼운 탄소로 이뤄졌으면서 대롱이나 공 같이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