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이런 과정을 통해 임직원의 기업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그 결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게
목표다. 정 교수는 “산업디자인이란 물리적으로 만져지는 제품뿐만 아니라 고객을 응대 하는 것과 같이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라며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산업디자인의 가치가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거 잘 하면 좋겠지만 잘 하지는 못해도 즐겁
게
할 수 있다면 훨씬 나을 것이다. 대체 어떻
게
하면 수학이 재미있어질까?김태연 소설가 말처럼 시험 문제 하나 더 맞힌다고 수학을 잘 하는 것은 아니다. 궁금한 것을 알 때까지 파고들고, 엉뚱한 답을 내놓더라도 스스로 문제를 풀려고 노력한다면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장보고 기지 주변의 빙권을 진단할 것”이라고 말했다.극지의 빙하 소리는 기후가 빠르
게
변하며 점점 늘고 있다. 실제로 미국 오리건주립대 해양자원연구협력연구소 하루 마쓰모토 교수와 이 연구원의 공동연구팀은 기후변화로 남극 빙산이 깨지는 소리가 증가하면서 바다에서 들리는 잡음이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때론 반쯤은 엉뚱한 실험이 과학을 발전시킨다. 이런 실험은 지금도 우리 주변에서 진행 중이다.
게
다가 아르바이트(이하 알바)를 하며 돈을 벌 수 있단다. 팔도를 누 ... 움직이며 신선한 난자를 채취했다. 방해가 될까 얼른 인사를 하고 자리를 떴다. 기자는 그날 밤 맛있
게
순대를 먹었다 ... ...
[Tech & Fun] 왜 피해자를 비난하기 쉬울까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강자 위주의 체제를 수호한다.지금이라도 피해자에 대한 비난을 멈추자. 피해자들에
게
책임을 전가하기 전에, 강자들의 포악함이 사회에 얼마나 해악이 되고 있는지 살펴보자. 불의의 진짜 원인은 그곳에 있을 것이다 ... ...
[INFO] 새 책_배경으로 숨어버린 것들에 대한 애정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기자가 중학교에 다닐 때 나일론을 만드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스타킹과 ‘1도 닮지 않은’ 액체들을 복잡한 과정에 따라 섞었더니 끈적한 나일론이 나타났다. 쉽진 않 ... 기자도 뜨끔할 정도. 취향에 따라 골라 읽어보자. 세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눈으로써의 과학을 만나
게
될 것이다 ... ...
[과학뉴스]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우리가 해냈습니다!”지난 2월 12일, 미국 라이고(LIGO,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 실험 책임자인 데이빗 라이츠 교수가 중력파 검출 실험 성공을 밝히며한 말이에 ... 카스텐 단즈만 교수는 “중력파의 검출은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얻
게
된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특별 인터뷰] 파워에너지 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싶어요!지사탐을 하면서 주변 생물을 아끼고 사랑하
게
됐어요. 올해는 학교 친구들에
게
도 이런 탐사의 즐거움을 많이 알려 주고 싶어요. 그리고 최우수대원에 도전해 보려고요. 함께 응원해 주세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끝이 보이지 않는 건물 안, 기계들이 줄을 지어 서 있는 곳.이곳은 바로 ‘반짝~!’ 하는 빛을 만들어내는 빛 공장, 포항 가속기연구소예요. 도대체 어떻 ... 이용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우리 몸 속의 단백질이나 식물의 광합성 반응에서 빠르
게
생기는 물질 등을 연구할 예정이랍니다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우주에는 우리은하와 같은 은하가 1000~5000억 개나 있을 거라고 해요. 이렇
게
어마어마하
게
거대한 우주를 이야기 할 때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거리의 단위와는 다른 단위를 사용해요. 바로 광년(Ly)과 천문단위(AU), 파섹(pc)이랍니다.광년은 빛이 진공에서 1년 동안 나아간 거리예요. 1광년은 약 9조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