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순풍
욕구
소원
바람구멍
구멍
구녕
d라이브러리
"
바람
"(으)로 총 3,46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상의 마지막 원시부족 힘바족의 고향 나미비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평형의 법칙을 거부하는 곳이 많이 있다. 허물어질 듯이 보이는 능선의 한쪽에는
바람
에 의해 곤충의 시체, 작은 나뭇가지 등 여러가지 찌꺼기가 모여 있어 먹이를 찾는 곤충과 도마뱀을 꾀고 있다.내륙 중앙부는 해발 1천5백~2천4백m 정도의 고원지대를 이루는데, 최고봉은 2천6백m인 브란트봉이다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나는 희귀종 특산종 약용식물 등을 따로 모아놓은 작은 도감이 제작되었으면 하는
바람
입니다. 둘째는 95년에 단행될 제6차 고등학교교과서 개편작업에서 생물교과서의 경우 분류분야가 지금보다 더 많은 지면을 차지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분류가 생물교과서의 절반을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감당하기 어려워 엄청난 시간을 잡아먹지 않을 수 없다. 실제로 미국에서 386 컴퓨터
바람
이 불게 한 것도 바로 이 윈도우즈였다.이전까지 텍스트 모드에서 도스로 운영하던 컴퓨터를 그래픽 모드의 윈도우즈에서 운영하려니까 자연 고속 고성능 컴퓨터가 필요하게 되었고, 386 컴퓨터는 이 요구에 ... ...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한랭한
바람
을 불어보낸다. 그러나 여름은 거의 모든 시베리아에 따뜻하고 온난한
바람
이 불어 비교적 많은 양의 비를 가져다 준다.기후대는 북에서 남으로 향하면서 툰드라기후, 냉대기후, 스텝과 사막 기후 등 규칙적으로 변하는 것이 특색이다. 툰드라 기후지역은 주로 북극해주변지역에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있는 한 장초점의 망원렌즈를 사용하고 광각렌즈인 경우에는 흡수형 필터를 쓰는 것이
바람
직하다.촬영대상의 선택도 중요하다. 광공해에 강한 천체로서는 산개성단 구상성단 행성상성운 등 비교적 면적당 밝기가 밝은 것들이고 은하는 효과가 적다.이상으로 대도시 불빛 아래에서의 관측에 대해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불과 몇종류 안되는 기체분자들이 수천억개 집단적으로 모여 움직일 때 폭풍이나 회오리
바람
같은 엄청난 가시적 현상을 일으키는 것과도 흡사하다. 이처럼 극히 제한된 구성요소들이 무수히 모여서 전개되는 물리체계를 다루는 학문분야를 복잡성의 과학(science of complexity)이라 한다. 최근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때는 위험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1986년 4월 28일 체르노빌에서 핵공장이 폭발했다. 이때
바람
이 방사능물질의 구름을 스칸디나비아의 중북부에 걸쳐서 넓은 폭으로 휩쓸어 클라도니아종의 지의류는 방사능 해면처럼 행동하여 치명적인 낙진을 흡수했다. 이 원전 사고의 주오염원은 세슘 137이었는데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세계산출량의 90%를 생산했다. 그런데 제2차세계대전 중 일본군이 자바섬을 점령하는
바람
에 연합군에 대한 키니네의 공급이 중단됐다. 부득이 키니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대체약인 콜로로키니네를 합성해 냈다. 그후 키니네와 콜로로키니네에 대한 내성균(耐性菌)이 생겨서 미군은 월남전에서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용한 전파관측은 젊은 별들이 초속 1천5백km가 넘는 빠른 속도의 '항성풍'이라고 불리는
바람
을 내뿜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항성풍은 주변의 가스를 빠른 속도로 가속시킴으로써 별이 성간물질로부터 태어나면서 빼앗았던 에너지를 되돌려 주며, 또한 별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무거운 ... ...
냉장고의 열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갖고 있다. 이 상태들간의 내재열 차이를 각각 기화열 및 융해열이라 부른다. 따라서
바람
이 불어 피부의 땀이 억지로 증발되기 위해서는 어디에선가 기화열이 공급돼야 한다. 이 기화열은 주변의 공기나 피부에 내재돼 있던 열로부터 충당되는데, 피부의 입장에서는 열을 빼앗기는 것이므로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