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최대한 높이기 위해 100개의 안테나에서 나온 전자기파를 모으는 ‘빔포밍’기술이
사용
된다. 마치 무대 위에서 여러 대의 조명이 한 명의 배우를 향해 비출 경우 더 밝아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이 교수는 “전자기파를 잘 모은다는 것은 여러 전자기파의 파동을 일치시킨다는 뜻”이라며 “파동의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987년 각각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실었다. 그는 또 원적외선 레이저를
사용
해 열 손상을 입는 문제를 최소로 줄였으며, 광집게로 집더라도 바이러스와 박테리아에 생리적인 손상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광집게가 탄생하기 전에는 미세 입자를 조작할 때 두 가지 문제가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파종부터 수확까지 어떤 유전자들이 발현되는지 확인하면 물과 농약,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
하지 않고도 환경에 잘 적응해 자라는 품종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고온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품종이 필요하다. 당장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봄철 기온이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역추적할 수 있다. 방법은 여러 가지인데, 스미스 연구원팀은 지구화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
했다. 블루 다이아몬드와 공존하고 있는 다른 광물이 특정 이온(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철)을 교환하는 양상이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이용해 당시의 환경을 역으로 추산했다. 서울대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배출은 적을지 몰라도 여전히 탄소를 배출한다는 문제가 있다”며 “인류가 화석연료를
사용
하며 겪어 왔던 일들을 또 다시 반복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재생에너지의 경우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하기에는 전력 생산효율이 너무 낮다고도 지적했다.현재 핵융합에너지는 기술 검증에만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산업공학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다. 홍 학과장은 “현재는 기술 그 자체보다 소비자나
사용
자들 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더 중요한 시대”라며 “이들이 원하는 것을 파악해 지금까지는 없던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가는 것도 산업공학의 영역”이라고 말했다. 교수진 자동차 부품 표준화부터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가능성이 훨씬 높을 수 있다. 진로 고민은 새로운 시각 습득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
하는 기술은 모두 그 기술의 개발 자체만 놓고 볼 때 꽤 오래됐다. 그 기술이 더 발전하고 다른 분야의 기술과 융합해 현대 사회와 문화가 형성된다. 사물인터넷(IoT)은 TV 리모컨과 인터넷 기술을 합쳐 스마 ... ...
[이달의 사물] 컴퓨터용 사인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빛이 흡수되는 부분을 읽어내는 방식이어서, 빛을 잘 흡수하는 검은색 잉크를
사용
해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크로마토그래피 실험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이 위에 일반 사인펜과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각각 선을 그은 뒤 종이가 물을 빨아들이게 하면, 일반 사인펜은 다양한 ... ...
[과학뉴스] 해양쓰레기 1위는 담배꽁초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플라스틱 빨대
사용
금지 움직임이 일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 플라스틱 빨대는 해양쓰레기의 약 0.02%에 해당할 뿐, 이보다는 담배가 훨씬 더 큰 영향을 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세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정책연구실 연구원은 9월 30일 발간된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수학 분야에서 1980년대 이후에 개발된 새로운 기법을
사용
했지요. 물론 이런 현대 수학을
사용
하지 않고 기초적인 수학만 가지고 풀어도 좋겠지만, 또 다르게 생각하면 현대 수학의 발전을 통해 이렇게 오래된 수학적 대상에 대해서도 아름다운 답을 줄 수 있다는 거죠. 여러분 중 누군가가 기초적인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