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54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초정밀 시스템의 시계 역할하는 '클럭' 기술 개발
2015.11.12
고가소자 없이도 세계적 수준의 발진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발진기가
상용
화됐을 때 제작비용을 기존 최고 성능 발진기의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기존 고성능 발진기는 크기가 클 뿐 아니라 기계적 안정도가 떨어지고, 가격 역시 수억 원 이상이었기 ... ...
국내 성체줄기세포 치료기술, 日에서 허가
2015.11.11
Pixabay 제공 국내 성체줄기세포 치료기술이 일본 정부의 치료 허가를 받았다. 일본에서 이 기술의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게 된 것이다. 국내 줄기세포 바이오업 ... 개발했다. 네이처셀은 일본 관계사인 ‘알재팬’을 통해 치료제 개발 및
상용
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 ...
비싸고 오래걸리던 암 검진, 10분만에 끝낸다
2015.11.10
측정하기가 번거로운 탓에 국내 도입이 어려웠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번 기술을
상용
화하면 병원과 보건소에서도 간편하게 조기에 암 진단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과학 학술지 ‘분석 화학(Analytical Chemistry)’ 9월호에 실렸다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2] 국산 핵융합장치 KSTAR의 진공배기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09
있는 것일까요? 바로 2015년도 KSTAR의 실험이 시작된 것입니다. KSTAR는 핵융합에너지
상용
화에 필요한 기술 개발을 위해 매년 핵융합 플라즈마 실험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KSTAR와 같은 핵융합장치를 활용해 태양에서처럼 핵융합이 일어나는 플라즈마를 만들어 실험하는 일련의 과정을 ... ...
최적의 개미산 연료전지 개발
2015.11.05
효율이 높지만 실제로는 개미산 연료전지에서 얻을 수 있는 전압의 출력 값이 낮아
상용
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산화탄소 재자원화를 통해 얻은 개미산(HCOOH)의 산화반응을 활용한 연료전지의 개념도. - GIST 제공 연구팀은 개미산이 포함된 전해질 용액의 수소이온농도지수(pH)를 단계적으로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1] 핵융합에너지, 원자력에너지와 어떻게 다를까요?
2015.11.05
거대과학 분야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지요. 이처럼 핵융합 개발은 핵융합
상용
화를 통한 에너지해결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핵융합발전소가 지어질 때쯤에는 우리나라의 많은 산업체들이 세계적 기업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을 수도 있지 ... ...
초등학생도 다룰 수 있는 3D 프린터 SW 나왔다
2015.11.04
수 있지만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물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지식이 필요해
상용
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최진성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융복합콘텐츠연구부장팀은 3D 프린터로 누구나 각종 제품의 설계도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3D 스캐닝 소프트웨어(SW)’를 개발했다고 4일 ... ...
1㎠ 전기 공급하는 데 단돈 1달러, ‘나노발전기’ 개발
2015.11.04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나노발전기를 값싸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상용
화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에도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 ...
[비교해봤습니다] 애플페이 vs. 삼성페이
2015.11.03
만들었다. 다만 단말기 보급률이 애플페이의 발목을 잡고 있다. 단말기 숫자가 적어
상용
화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지적이 많다. 현재 애플페이는 미국과 영국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페이 사용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피닉스인터네셔널은 2014년 10월 ... ...
[토요판 커버스토리]하늘 위의 블루오션
동아일보
l
2015.11.02
국토부는 150kg 이상 규모의 중대형 항공기급 드론 개발에 370억 원을 투입해 2020년까지
상용
화할 계획이다. 이를 도서·산간지역 운송이나 재난감시 등의 목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 같은 대형 드론의 모습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소형 드론과 차이가 있다. 드론은 모양에 따라 날개가 달린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