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기술]슈퍼컴퓨터 넘버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블루진L은 이번까지 3차례나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현재 가장 오래 1위를 차지한
기록
은 일본 NEC의 지구 시뮬레이터로 5번 연속이다. 이 컴퓨터는 현재 세계 7위다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국가 기관 설립 시점을 중시한다면 갑신정변이 일어난 1884년 6월이 될 것이다. 일기예보
기록
을 중요하게 여긴다면 최초의 자료가 나타날 때까지 1905년 11월 1일을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단 침략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말이다. 만일 우리민족이 주도했는가를 중시한다면 대한제국 시기인 190 ... ...
황우석 줄기세포, 줄기 꺾이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MBC TV ‘PD수첩’도 ‘연구원이 난자 채취 시술을 받았다는
기록
을 확보했다’고 주장하며 관련 내용을 22일 방송할 예정이다. 황 교수팀이 연구원 난자를 썼을 거라는 의혹이 높아지고 있다.연구원의 난자 제공은 두 측면에서 문제가 된다. 연구기관의 책임자는 소속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29세였던 한 청년은 그렇게 한국 최초의 남극 방문자로
기록
됐다.“세상이 온통 하얗고 파랬어요. 단조로울 것만 같지만 두터운 눈을 꿰뚫고 뿜어 나오는 남극 활화산의 증기는 정말 살아있는 느낌이었죠.”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눈앞에 펼쳐진 끝없는 설원과 하늘색에 ... ...
도전! 아이스박스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석빙고는 한겨울의 얼음을 보관했다가 여름에 사용하는 얼음 저장고다.조선 숙종 때의
기록
에 의하면 경주에 있는 석빙고의 경우 겨울에 얼려 둔 얼음을 추석까지 사용했다고 한다. 석빙고에서 가장 신비롭게 여겨지고 있는 것은 냉각 기술로 보통 땅 속의 돌은 겨울철에는 10~15℃를 유지하는데, ... ...
지진 생존자를 위한 '따뜻한 텐트'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인가(印加)하여 지시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교번전류성분을 인가직류 전압의 함수로
기록
하고 해석하는 폴라로그래피의 일종 난소의 여포(濾胞)가 발육 · 성숙해도 이것이 파열 배란되기 위해서는 교미 또는 특정한 자극 호르몬의 주사 등이 필요한 동물 결합조직(섬유성 결합조직 · 연골조직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남극으로 출발시켰다. 올해 12월이면 또 한번 남극에서 풍선이 떠오른다. 이번에는 어떤
기록
을 세울 수 있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원래 NASA는 비행기간이 100일에 달하는 초대형 ‘울트라 벌룬’을 제작해 지난해 말 우리 검출장비를 띄우려고 했어요.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제공하기 위해 만든 것이라고. 무지개 아래에는 각 형광분자가 내는 빛의 파장을
기록
했다. | 일러스트레이션 부문 | 시냅스, 베일을 벗다그라함 존슨, 그라함 존슨 메디컬 미디어뇌 속 깊은 곳. 신경세포들이 서로에게 신호를 보내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수십억 개 신경세포로 이뤄져 있는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야기다. ‘자메이카의 신예 스프린터 포웰이 9.77 초의 질주로 육상 남자 100 m 세계신
기록
을 세웠다.’ 2005년 5월 15일 신문기사 내용이다.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이 같이 측정결과를 흔히 접하지만 어떤 원리로 측정되고, 측정에 사용된 자나 시계가 얼마나 정확한지 알지 못하고 있다. 올해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매일밤
기록
하게 했고, 이런
기록
은 세계적인 보물로 남아 있다. 안 박사는 “고천문
기록
에 관한 한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많다”고 단언했다.그러나 안 박사는 연산군 이후 한국의 천문학이 시들해지기 시작했다고 아쉬워했다. 임진왜란은 결정적으로 한국의 과학문화 수준을 떨어뜨렸고 결국 ... ...
이전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