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증상중 하나이므로 그렇게 여길만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내이(內耳)가 멀미의 주범으로
인식
되고 있다.인간의 내이는 해부학적 기능적으로 다른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즉 청각기능을 담당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을 책임지는 전정(前庭)부로 구분된다. 그중 전정부는 세 개의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것 같지만 적어도 산업혁명을 맞기 이전까지의 과학과 기술은 각각 독자적인 영역으로
인식
됐다. 즉 과학은 우주와 세계의 근본원리를 탐구하는 철학자나 수학자 물리학자(대개는 이 일을 겸직했다)의 몫이었으며 기술은 장인들이 무수한 시행착오와 경험을 통해 전수하는 그들 고유의 노하우로만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하는 단백질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항체와 효소의 기능을 통합, 표적항원을
인식
하는 즉시 분해시킴으로써 면역체계의 방어역량을 훨씬 높이는 새로운 단백질인 효소 항체(abzyme 또는 catalytic antibody)가 캘리포니아의 스크립스(Scripps)연구소와 버클리대학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와 같은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주기적으로 시험펄스(pulse)를 발사해 그림이 망가지는 것을 막는다. 수신장치는 펄스를
인식
하고 반사로 인해 펄스가 어떻게 바뀌었다는 것을 계산한 다음 들어오는 모든 신호를 바로 잡을 수 있다.한편 NHK는 아날로그전송이 가전제품용으로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NHK는 이 기술이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미 체계화된 공학 분야에서도 보인다. 곧 제어공학의 경우에는 통신 제어, 로봇,
인식
과학 등이 새로이 포함됐고, 기계공학에 있어서도 자동제어 계산기계 생산관리 인간공학으로 그 대상이 확대됐다. 재료공학에 있어서도 화학 물리학의 발전으로 인한 신소재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점차 ... ...
색을 구별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크기만한 영상프로세서가 달려 있는데, 그는 앞으로 수년내에수많은 산업용 로봇이 색상
인식
능력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물론 그중에는 슈퍼마켓의 점원로봇도 포함될 것이라고 한다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구조에 관한 이론도 모두 과학소설의 자료가 될 것임이 분명하다.다만 우리가 확실히
인식
할 수 있는 것은 과학의 진보와 기술로의 응용이 일찍이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속도로 맹렬히 진전되고 있으며 이는 어떤 무엇으로도 저지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그 진보와 응용의 경이적이고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했다.89년 10월 건치회가 인포서브에 처음 가입했을 무렵에는 통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이 부족해 보급에 어려움도 있었다. 지금은 어느정도 이를 극복한 상태지만 아쉬운 점이 많다고 시솝 조광제씨(조광제치과의원)는 말한다. "욕심같아서는 일반회원과 비회원들(건치회는 전체 치과의사의 10%가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노인성 치매) 등의 병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나이가 들면 기억력이나 다른
인식
기능에 놀랄만한 변화가 올 수 있지만 그것은 노화보다는 병리현상의 결과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사실 지금까지의 지능테스트는 연령이 많을수록 같은 지능지수(IQ)를 받기위해 필요한 점수를 더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녹색수용체 청색수용체를 적절히 활용해 수천가지의 색을 식별해내는 것이다. 물론 색을
인식
하는 최종적인 장기는 뇌이지만.그러나 냄새를 구별하는 수용체는 그 종류가 훨씬 많다는 것이 악셀 교수의 주장이다.냄새가 나는 분자는 우리 콧속에 있는 수백만개의 털숲을 헤엄치다가 어떤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