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인
뉴스
"
한국사람
"(으)로 총 5,58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라마다 흔한 식품 알레르기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세계적으로 식품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은 대부분 우유와 달걀이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국가별로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 식품 알레르기원이 다르다고 보고 있다. 유전적, 환경적 요인 탓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달부터 대한항공이 땅콩을 더는 기내 간식으로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
[르포]'주제·일정 제멋대로' 서울서 열린 부실학회
2019.04.22
19일 서울 마포구 한 호텔에서 인터네셔널 아카데미오브 사이언스 테크놀러지 엔지니어링 앤드 매니지먼트가 주최한 학술대회가 열리고 있다. 이 학회는 와셋, 오믹스 등과 부실추정학회로 지목되고 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19일 오전 서울 마포구의 한 호텔 회의실. 이날 9시 30분부터 12 ... ...
'발표 주제 제각각, 일정도 제멋대로' 서울서 열린 부실학회 가보니
2019.04.21
이달 19일 서울 마포구 한 호텔에서 부실학회로 추정되는 '인터내셔널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엔지니어링 앤 매니지먼트(IASTEM) 2019'가 열리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19일 서울 마포구의 한 호텔 회의실. 이날 9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인터내셔널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 ... ...
기초연구 10년간 뜬 단어는 ‘AI·빅데이터’ 진 단어 ‘유전자·나노’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유전자’가 지난 10년 사이에 한국연구재단 연구제안서의 키워드 가운데 가장 크게 빈도수가 줄어든 키워드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 인기가 빠졌다는 분석도 가능하지만, 단순히 키워드로 그 분야가 퇴조했다고 볼 수는 없다는 해석도 있다. 사진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지난 10년 사이에 기초과학 ... ...
항생제에 강해지는 한강의 세균들…내성 유전자 최소 300종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과학자들은 병원성을 가진 슈퍼박테리아 외에도 흙이나 강물 등 자연환경에 존재하고 있는 항생제 내성 세균과 유전자를 찾고 있다. 세균이 진화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수도권에 사는 2300만명이 마시는 한강 수계에서 사는 세균에서 최소 300종 이상 ... ...
“마이크로RNA 치료제 실현하려면 기초연구 기술개발 함께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0
김빛내리 교수가 '행복한 실험실'을 만들려면 자율성과 배려, 협동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질병과 관련 있는 유전자를 이용해 난치병을 고치려는 맞춤형 의학은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희망이다. 하지만 하나의 병처럼 보일지라도 여러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탓에 유전자치료에 대한 ... ...
시민 앞 다가선 과학…첫 도심형 ‘과학축제’ 준비 현장 가보니
2019.04.19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19일 대한민국 과학축제 서울마당 전시관은 오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관람이 가능합니다” 이달 19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대한민국 과학축제’ 사무국이 전화 안내에서 밝힌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 앞 ‘서울 마당’의 관람시간이다. 하지만 관람 시작 시간 ... ...
장내미생물 캡슐 한 알로 아토피·천식·스트레스 한번에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인체 내 미생물 중에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찾아 신약으로 개발하고 있는 고광표 고바이오랩 대표. 고바이오랩 제공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이라는 세균에 감염된 환자 10%는 한 달안에 목숨을 잃는다. 항생제를 먹으면 먹을수록 힘이 세진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15년 이 세균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권익찬 KIST 테라그노시스연구단 책임연구원(왼쪽) 이 '절친' 동료연구자인 최귀원 바이오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오른쪽)과 서 있다. 권익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은 지난해까지 5년 연속으로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 ... ...
국민 100명 중 57명 잘못된 먹거리 상식 갖고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100명 중 57명꼴로 먹거리 안전에 대해 잘못 알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식중독균은 사람 간에 전염될 수 있을까' '잔류농약은 기준치 이하라도 위험할까' '방사선을 처리한 식품은 방사성 물질이 남아 있어 위험할까'. 이들 질문에 대한 정답은 각각 '예' '아니오' '아니오'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