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4,968건 검색되었습니다.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20세 전후, 매년 1백50명-3백명)과 각지의 초등학생, 그리고 일반인의 얼굴을 70개
지역
에서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자.먼저 머리 윗부분에서 커다란 특징이 드러났다. 원래 한국인의 머리 가운데 정수리 부분(두개부)은 끝이 뾰족한 ‘고구마형’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머리 양옆 끝의 모난 부분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지금보다 약간은 더 높아질 것이다. 이런 지형적 변화는 한반도를 비롯해 환태평양
지역
전체의 기후 구도에 일대 변혁을 가져올 것이다.일본은 왜 가운데가 꺽여있을까 - 쌍부채꼴 모델에서 2단계 분리설로지도에서 보면 일본 열도는 가운데가 움푹 꺼져있는 모습을 띠고 있다. 유라시아판에서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10
나무의 껍질에서 채취한다. 17세기경에 서양에 알려지게 된 이 나무는 인도네시아 같은
지역
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생산량이 충분하지 못하므로 그 값이 비쌀 수밖에 없다.그러나 그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에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가진 화학물질이 함께 혼합돼 있어서, 의외의 피해를 ... ...
에이즈
과학동아
l
199910
지금까지 가장 유력한 학설은 아프리카 원숭이에게서 유래했다는 것. 현재 아프리카
지역
에는 2천3백만명에 이르는 에이즈바이러스 감염자가 있다(아프리카에서는 옛날부터 슬림병이라는 에이즈 증상이 발견되곤 했다). 그래서 혹시나 하는 생각에 아프리카 원숭이를 조사한 결과 원숭이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10
빛을 내뿜고 있다.■24일: 목성 충행성의 왕 목성이 24일 양자리와 물고기자리의 경계
지역
에서 충이 된다. 이날 목성의 시직경은 46.5초, 광도 -2.9등급으로 가장 크고 밝아서 소형망원경으로도 목성의 표면 줄무늬와 4대 위성을 관찰할 수 있다. 게다가 11월 7일 충을 맞이하는 토성도 동쪽 15도 떨어진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10
자유롭게 움직여 원하는
지역
에 통신서비스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지역
을 아시아
지역
으로 확대할 수 있어 ‘돈을 받고’ 외국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무궁화위성을 쏘아올린 한국통신은 2호와 3호를 이용해 초고속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대표적인 사업은 9월부터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10
가려지는 일식을 볼 수 있다.아래의 그림에서처럼 달의 실제 크기는 작아 지구의 일부
지역
에만 달의 그림자가 비쳐지는 일식을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지구의 자전으로 달의 그림자는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계속 움직이므로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시간은 채 몇 분이 안 된다.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릴 ... ...
초고속인터넷
과학동아
l
199910
케이블TV망을 통한 고속 인터넷에 투자를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한편 산간벽지나 도서
지역
의 외진 곳에는 고속의 유선통신이 제한을 받기 때문에 위성을 통한 위성인터넷이 시도되고 있다. 이미 삼성 SDS가 약 6천4백74명, 한국통신이 616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무궁화위성을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9
수년 전에는 크레바스가 없는 눈 평원이었지만, 어느 순간 쩍쩍 갈라진 크레바스
지역
으로 변해 엄청난 거리를 돌아가야 하는 일이 생긴다.그러나 이렇게 눈에 보이는 크레바스는 양반이다. 갈라진 크레바스 위에 강풍과 눈보라가 내리쳐 표면을 살짝 덮으면서 내부에는 크레바스를 숨기고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09
답은 오직 신만이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확실히 1990년대 들어 한반도 주변
지역
에서도 예년의 기상현상과 구별되는 특징들이 여기 저기서 관측되고 있지만, 아직 누구도 이것이 장기적인 기후변동의 서막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현상인지 결론 내리지 못ㅎ고 있다. "브라질에서 나비가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