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25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걸렸던 사람, 백신 2차 접종 필요 없다
연합뉴스
l
2021.03.12
후와 비슷했다. 양성 그룹의 면역 반응이 1차 접종 후에 강해지는 건, 피험자의 면역
세포
가 이때부터 신종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백신 접종 대상자가 신종 코로나에 감염된 적이 있는지 잘 모를 경우엔 혈청학적 분석을 통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 ...
어린 연령층 감염률이 바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숫자가 어른보다 아이들이 적기 때문으로 추정해왔다. 변이 바이러스가 숙주의 호흡기
세포
에 더 쉽게 붙도록 스파이크 단백질이 돌연변이를 일으켰다는 분석이다. 변이 확산은 이미 국내에선 현실화하고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11일 기준 지난해 10월 이후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총 257건에 ... ...
'좋은' 콜레스테롤 기능 활발하면 관상동맥 막혀도 혈관 생성
연합뉴스
l
2021.03.11
형성을 촉진해 결과적으로 심혈관을 보호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특히
세포
나 동물실험이 아닌 인체를 통해 이러한 결과를 증명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AHA) 공식 학술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JAHA)에 이달 초 발표됐다. ... ...
뇌 회로 망가뜨리는 돌연변이 조현병 부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포함해 총 54명의 유전자를 시퀀싱했다”며 “단백질만 고심도로 분석했기 때문에 신경
세포
에 적은 비율로 존재하는 돌연변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소바젠은 연구를 이끈 이 교수가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있는 KAIST 교원 창업 기업으로 뇌에만 존재하는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를 위한 ... ...
[동일본대지진 10년]“오염수 탱크 10개 방사성 핵종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영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면서도 “다행히 삼중수소는 살아있는
세포
에 거의 손상을 입히지 않는 저에너지 베타(β)입자를 내는 베타핵종이어서 다른 방사성 핵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말했다. 뷰슬러 소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탱크에 ... ...
여성이 남성보다 코로나 백신 부작용 많이 겪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인체 내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감 백신의 경우 에스트로겐은 면역
세포
가 더 많은 항체를 생산하도록 영향을 미친다. 또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체내에서 ‘사이토카인’으로 불리는 면역 화학물질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과 여성의 유전적 차이도 ... ...
A형은 약하고 O형은 강하다?…혈액형으로 본 코로나 취약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영역(RBD)을 숙주
세포
표면의 수용체(ACE2)에 결합하면서 체내에 침투한다. 스토웰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이 A와 B, O형 혈액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 실험했다. 그 결과 RBD가 다른 혈액형에 비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자연에서 발견한 코로나19 치료 후보물질
2021.03.09
쉽게 섭취가 가능하다. 아직
세포
실험 단계이기에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상기도의 상피
세포
에 고농도로 투약할 수도 있어 약물로 개발됐을 때 무증상환자나 초기 환자에게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연구진은 현재 동물실험을 준비하고 있다. 동물실험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온다면 ... ...
코로나 변이에서 면역
세포
억제 단백질 발견...화이자 모더나 백신 효능저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방해하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또 “현재 접종중인 mRNA 백신은 펩타이드에 대한 T
세포
의 반응을 유도하기 때문에 표적 펩타이드 중 일부가 변이를 일으키면 mRNA 백신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향후 서로 다른 HLA 유형을 지닌 개인간 ... ...
마스크 쓰고 운동해도 호흡곤란 위험 없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예방할 수 있다. 다만 격렬한 운동을 하며 마스크 착용을 할 경우, 호흡곤란이나 조직
세포
의 산소가 비정상적으로 부족한 저산소혈증 등의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연구팀은 운동 중 마스크 착용이 안전한 지 알아보기 위해 참가자 1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