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723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바라기처럼 움직이는
태양
광 모듈, 전력 부족한 저개발국가들에 제공
동아일보
l
2016.02.15
만드는 펌프는 내구성이 강하고 조작이 쉬운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솔키스의
태양
광 모듈을 저수지에 설치하면 기계를 가동시킬 전력이 마련된다. 전력은 기계 작동에만 쓰이는 게 아니라 농촌 가구에도 공급된다. 저개발국가일수록 농촌의 전력 수급 상황이 좋지 않다. 그만큼 농촌 지역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성공한 것이다. 분석결과 중성자별 병합 보다 더 강력한 중력파가 나오는 블랙홀(각각
태양
질량의 30~40배)의 병합이었다(따라서 13억 광년이나 떨어졌음에도 검출이 됐다). 또 미 남동부 리빙스턴에 있는 관측소가 북서부 핸퍼드에 있는 관측소보다 7밀리초 먼저 검출했기 때문에 중력파가 ... ...
[101년 만에 중력파 검출] 韓 연구진, 중력파 검출에 직접 참여
2016.02.12
한국, 독일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태양
질량의 36배와 29배인 블랙홀 두 개로 이뤄진 쌍성이 충돌해 합쳐지는 과정에서 나온 중력파를 검출했다. - SXS 제공 ‘매우 흥미로운 사건(very interesting event)’. 지난해 9월 14일 저녁 8시경 오정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에게 e메일 한 통이 ... ...
[101년 만에 중력파 검출] 전 세계가 환호한 중력파 검출, 어떤 의미 있나
2016.02.12
10억 광년 이상 떨어져 있는 블랙홀 2개가 서로 합병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충돌로
태양
질량의 3배에 이르는 중력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시공간의 뒤틀림이 관측됐다. 블랙홀 2개로 이뤄진 이원계를 발견한 것 역시 최초다. 연구팀의 유럽 총괄책임자인 카스텐 단즈만 독일 ... ...
[101년 만에 중력파 검출] “우리가 중력파를 검출했다” 역사적인 기자회견 순간
2016.02.12
해냈다”라고 덧붙이자 장내에서는 박수 갈채가 터져나왔다. 그는 “중력파는 각각
태양
질량의 29배와 36배에 이르는 2개의 거대한 블랙홀이 서로 충돌하며 생성됐다”며 “지난해 9월 라이고에서 처음으로 신호를 관측했다”고 밝혔다. 이어 2개의 블랙홀이 서로 충돌하는 영상과 중력파가 ... ...
[2015년] 일반상대성이론의 마지막 선물
2016.02.12
쌍성이 약 1km정도의 거리를 두고 회전하는, 비교적 큰 사건에서도 중력파는 매우 작다.
태양
반지름(6.9×108m) 정도의 물체를 고작 수소원자 반지름(5.3×10-13m)만큼 변화시키는 세기다. 검출이 매우 어렵다. 빅뱅·급팽창이나 초신성 폭발, 감마선 폭발과 같은 천문학적인 규모의 사건에서 발생하는 ... ...
[2013년]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2016.02.12
너무 작다. 중력파가 시공간을 일렁이게 만들면 거리의 변화가 생기는데, 그 정도가
태양
반지름이 수소 원자 하나 크기만큼 변하는 수준으로 작다. 그래서 엄청나게 큰 질량을 지닌 물체가 움직이지 않는 한 중력파를 검출하기 어렵다. 이 작은 거리 변화를 과학자들은 어떻게 측정하려고 할까. ... ...
[2003년] 검은구멍이 발하는 중력파 포착하라
2016.02.12
동료들은 독수리자리에서 두 중성자성이 이루는 쌍성을 연구했다. 두 중성자성은 불과
태양
반지름 거리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초속 300km 정도의 엄청난 속도로 약 8시간마다 서로 공전하고 있다. 이 쌍성에서 중력파가 에너지를 빼앗아 달아난다면 두 별이 점점 접근하면서 공전주기가 ... ...
[1989년] 가장 약한 파 중력파를 찾아
2016.02.12
찌그러진 형태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강력한 중력파원이 될 것이다. 중성자별이 생기려면
태양
보다 4∼8배 큰 질량을 가진 별이 초신성폭발을 일으켜야 된다. 그런데 만약 이보다 더 큰 질량을 가진 별이라면 어떻게 될 것인가? 이 경우에는 중력이 워낙 강하여 중성자별 상태로 견디지 못하고 계속 ... ...
장보고과학기지 2주년…“남극에 ‘코리안 루트’ 완성하겠다”
동아일보
l
2016.02.11
운석과 3억 년 전의 나무화석 등 300점 이상의 동·식물 화석을 발굴했다. 이것들은 앞으로
태양
계 생성과정을 연구하고 과거 남극대륙의 환경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장보고기지는 새로운 생명체 발견이 기대되는 빙하 수천 미터 아래 호수(빙저호) 연구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 ...
이전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