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d라이브러리
"
시대
"(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촉감
시대
열린다 햅틱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오늘날 우리의 눈과 귀는 정보의 과잉에 시달리고 있다. 반면 관심밖으로 던져진 촉각. 그 결과 현대인들은 접촉 결핍증을 앓고있다. 21세기, 새롭게 무장한 디지털 기술이 촉감을 재현하기 위해 나섰다. 삶의 체험을 다채롭게 할 놀라운 인공촉감, 햅틱스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자신의 실수가 실제상황에서 벌어진 일이 아니라는 사실에 안도할 따름이다.가상 수술
시대
의 도래김씨처럼 수련의들이 가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훈련하는 장면은 먼 미래의 일일까? 최근 ‘햅틱스’(haptics) 분야가 급격히 발전하면서 가상수술이 현실화될 날도 머지 않았다. 햅틱스란 용어는 ... ...
채워지지 않는 전설의 술잔 만들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슬기는 중국과의 홍삼 무역을 통해 거부가 된 조선
시대
의 거상‘임상옥’의 일대기를 그린 소설을 읽고 있었다.책을 읽다가 깜빡 잠이 든 모험이는 어느새 소설 속의 주인공 임상옥이, 슬기는 곁에서 임상옥을 보필하던 박종일이 돼 있었다. 누명을 쓰고 유배돼 있는 모험이에게 당대의 세도가인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있다. “반세기 전 우리 젊은이들이 와인통과 술도가에 빠져있던 혐오스러운 선술집
시대
는 지나갔다.… 정신을 맑게 하는 커피는 술과 달리 뇌에 영양을 공급하고 머리를 맑게 해주어 진리의 밝은 빛으로 현실을 비추고, 성욕을 억제하여 성적인 자극 대신 마음을 자극한다.”카페인 치사량은 1백잔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기념해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역사적으로 엄연히 과학의 날이 있었다. 일제
시대
민족과학운동을 벌인 김용관이 찰스 다윈의 사망일을 기념해 4월 19일을 ‘과학데이’로 정한 적이 있다. 불과 이틀 차이지만 결코 작은 차이로 느껴지지 않는다.또 우리의 과학사를 세계 속에서 바라보는 ... ...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또한 방사선 연구는 핵변환의 발견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핵분열이 발견돼 핵에너지
시대
에 진입하게 됐다. 결국 20세기 과학은 X선의 발견을 계기로 해서 새로운 모습을 갖춘 셈이다.X선이 진단방사선학에 이용되는 이유는 투과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인체를 투과해 그 속의 구조를 관찰할 수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새로운 의료용 재료와 생체재료로서 다시 한번 바이오산업에서 새로운 실크로드를 여는
시대
가 오고 있다.2002년 8월호 사이언스에서는 미래 화학산업에 대해 ‘청정화학’이란 타이틀로 특집 기사를 소개했다.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는 공정에서 유기용매 등 유해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실크 ... ...
조용한 초음속 비행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2의 콩코드기는 7시간 걸리던 파리-뉴욕간 비행시간을 3시간대로 앞당겨 반나절 지구여행
시대
를 열었다.그러나 콩코드기가 비행하면 소닉붐 때문에 창문이 모두 깨지는 등 피해가 발생하자 거주지 상공에서는 초음속 비행이 금지됐다. 대서양 상공에서나 실력발휘를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 지난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그렇다면 왜 중국은 이런 막대한 지출을 하면서 유인우주계획을 추진하는 것일까.냉전
시대
로부터 현재까지 유인우주계획의 성공은 국력의 우열을 가리는 시금석이었다. 실례로 1961년 옛소련이 유리 가가린을 태운 최초의 유인우주선 보스토크 1호를 발사하면서 옛소련은 국력이 미국을 앞섰다며 ... ...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불빛은 꺼지지 않고 있다.비록 아시아가 우주개발에 있어 후발주자이긴 하지만 냉전
시대
이후 우주개발의 동력을 찾지 못하며 시들해진 미국, 러시아, 유럽에 비해 우주개발 의지는 매우 높다. 아시아의 주요 나라인 우리도 우주로 가야 한다. 지구궤도뿐 아니라 달과 화성, 그리고 그 너머의 먼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