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뉴스
"
설계
"(으)로 총 4,622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수 없는 K9자주포, 박격포 나르는 견마로봇…軍에 부는 무인화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플랫폼 위에는 조작용 팔이나 지뢰감지장치 같은 다양한 장치를 달 수 있도록
설계
했다. 2019년까지 탐색개발 단계의 개발이 진행중이다. 시설을 경계하고 감시하는 자율주행 로봇도 소개됐다. 1~2t급의 로봇으로 바퀴로 움직이기 때문에 차량에 가깝다. 2016년 공군 비행장에서 이미 운용시험을 ... ...
국내연구진 2063년 지구 충돌 위험 소행성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이번 발견은 한국이 보유한 KMTNet가 있어서 가능했다. 하지만 주요 부품인 카메라 CCD의
설계
수명을 거의 다 하는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 책임연구원은 “현재 카메라 성능 개선을 위한 유지보수예산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세 대의 망원경 부품을 교체하는 데에는 대략 ... ...
디스플레이 발광효율 높이는 ‘원편광’ 구현 신개념
설계
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발광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최석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원편광 발광재료
설계
에 대한 기존 상식이 깨졌다”며 “향후 원편광 발광의 색변환 재료를 개발해 미래 디스플레이 산업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 ...
이지윤 KAIST 교수, 국내 첫 美 항법학회 이사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지능형 교통시스템, 자율 무인시스템의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인 ‘항법 무결성 아키텍처
설계
’ 분야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이 교수는 2년간 회장단을 도와 항법 분야 새 기술, 정책 및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학회 조직위원회 운영을 지원한다. 석학회원 선출 등을 포함한 정책 결정 및 운영 ... ...
'팹리스 인력 양성 본격화' 13개 대학에 반도체
설계
전공 개설
연합뉴스
l
2019.06.25
심층 인터뷰와 교육수요 조사 등을 진행한다. 산업부 정승일 차관은 "시스템반도체
설계
전공 트랙 과정 개설은 지난 4월 말 발표한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의 후속 조치"라며 "전체 반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인력양성이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을 ... ...
'원자로 운영자 한 명에게만 책임 몰아가기?'…한빛1호기 끝나지 않은 의혹들
2019.06.24
점이다. 이에 대해 원안위는 “제어봉에 문제가 생기면 제어봉이 자동으로 떨어지도록
설계
가 돼있기 때문에 제어봉 낙사시험 측정 등에서는 문제가 없다”며 “제어봉을 인출하는, 끄집어내는 과정에서 고착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구동장치에 문제가 없는지 내시경 검사 등 추가 검사를 한 뒤 ... ...
한빛1호기, 운영자 반복된 오판·안전절차 무시가 가져온 사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직원(차장)이 두 번의 판단 오류를 범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계산에 참조해야 하는
설계
문서를 잘못 인용해 잘못된 반응도 값을 도출했다. 또 제어봉을 임계기준 위치인 66단보다 높은 위치인 100단으로 인출하는 상황이었음에도 큰 음의 값이 나온 것에 대해 이 직원은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기존의 엉덩이 관절, 무릎 관절 보조 기술에 이어 이번에는 발목 관절까지 보조하는
설계
를 진행했다. 김병욱씨가 2016년 사이배슬론 대회에서 수상한 웨어러블 로봇을 입고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대전=김민수기자 공 교수는 “발목 관절 보조까지 가능해지면 서있거나 걷는 ... ...
“경계에서 꽃을 피워라” 소재에서 바이오까지 융합, 또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미량의 시료에서 진단을 하는 진단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그밖에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은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세포공장을 연구한다. 이들 융합기술은 ‘현실에서 쓸 만한 기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장기지원을 통해 ... ...
"국내서 개발한 원전기술 '냅스' 수출 목적 허위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냅스가 비전략물자로 판정받은 당시 자료집의 축약본을 첨부해 냅스 소프트웨어의
설계
도 격인 소스코드와 관련된 문서가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2015년 ENEC에 냅스를 수출할 당시는 신청서에 ‘냅스의 소스코드 제공’이라고 표기해 전략물자로 판단한 것으로 밝혀졌다. KINAC의 해명은 ... ...
이전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