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당신에게 고향의 추억을 바칩니다...윤인순 할머니의 오르골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뿌려 색을 입혔습니다. 금속으로 만들어 차가운 느낌이 드는 꽃 속에는 노란빛의 LED를 설치해 따스한 느낌을 줬습니다. 꽃 속 암술과 수술을 표현한 겁니다. 작품 외관에는 국방부의 협조로 구한 특별한 재료도 사용됐습니다. 분단의 아픔을 상징할 38선 철조망입니다. 숨숨 님은 영란꽃으로 철조망을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뒀다가 자동으로 파이프를 통해 선반의 각 층으로 전달한다. 수조에는 양분측정기기가 설치돼 있어 실시간으로 전기전도도, 수소이온농도(pH), 수온 등을 측정한다.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이유는 배양액 속 전해질의 농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측정 결과 전해질 농도가 낮거나, pH가 5~6.5 범위를 ... ...
- [과학뉴스] 숨겨진 행성 존재 암시하는 전파 발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어레 이(LOFAR)로 외계행성이 방출한 전파를 포착했다. LOFAR는 직경이 1000km가량에 이르며, 설치된 2만5000여 개의 안테나로 진동수가 250MHz 이하의 저주파를 관측한다. 연구팀은 지구로부터 26.2광년 떨어진 중심별 GJ1151과 행성 사이에 자기 상호작용이 있다는 증거를 144MHz 대역에서 포착했다. 외계행성을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로 흘려보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것이라 비판했죠. 그린피스는 “원전 바깥에 있는 방사능 고오염 지역에 추가 부지를 설치해 오염수 보관 탱크를 늘리라”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어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백도명 교수도 “방사성 물질은 반감기●를 갖기 때문에 보관이라는 대안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 ...
- [특집] 알쏭달쏭! 디지털 트윈, NFT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풍력단지 실사 화면을 3D 디지털 모형으로 만들었어요. 해상풍력발전단지는 바다에 설치돼 있어 관리가 어려운데, 디지털 트윈이 있으면 컴퓨터로 이상 징후를 보이는 부품이나 데이터 오류 발생 가능성 등을 즉각 파악해 해결할 수 있어요.디지털 트윈이 적용되는 사례는 또 있어요. 싱가포르는 201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합니다. 여기에 더해 거대한 날개와 무거운 모터까지 조립해야 하죠.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8분 가량의 영상 중 하이라이트는 발전기의 날개를 옮기는 장면입니다. 날개가 너무 커서 옮기기조차 쉽지 않더라고요. 우리가 누리는 전기가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거였다니! 나는! ... ...
- [한페이지 뉴스] 화성 여행, 화창한 2030년대에 떠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우주선을 모델링했다. 이후 구형 알루미늄으로 만든 차폐막 내부에 우주인 모사체를 설치한 뒤 외부에서 고에너지 입자를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내부에서의 위험도는 차폐막 두께와 방사선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주방사선은 크게 태양에너지 입자 ...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이른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확연하게 개선됐다”고 적었다. 1403년 조선에 주자소가 설치되며 구리로 ‘계미자’가 주조됐다. 1420년 계미자보다 작고 단정한 활자인 ‘경자자’, 1434년 다시 크기를 약간 키우고 각 활자의 크기를 동일하게 만든 ‘갑인자’가 만들어졌다. 갑인자는 대나무를 ... ...
- 도시 새의 둥지 짓기 프로젝트 │ 아늑한 내 집, 뭘로 만들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홍릉숲 탐방에 동행한 박찬열 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연구과 연구관이 숲 입구에 설치한 인공 새집을 조심히 열었습니다. 박새가 잠시 자리를 비운 둥지는 나무 지붕 아래 진흙, 이끼, 그리고 흰 솜털 순으로 살뜰히 만들어져 빗속에서도 보송보송한 모습이었습니다. 박새 둥지는 도시 속에서 ... ...
- [논문탐독] 세차게 내리는 빗방울을 하늘에서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유형’과, ‘강수입자가 작은 대신 그 수가 더 많은 유형’입니다.전자는 주로 대륙에 설치된 기기에서 관측됐고, 후자는 바다 위의 섬에서 주로 관측됐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대륙성 및 해양성 집중호우 구름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전 지구를 관측하지 못했다는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