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d라이브러리
"
손가락
"(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안면 경련’ 같은 느낌이었다”고 표현했어요. 즉, 라오 교수의 생각이 스토코 교수의
손가락
을 움직이게 한 거예요. 실험을 이끈 라제시 라오 교수는 “앞으로 이 분야가 더 발전하면 생각만으로도 다른 사람의 행동을 조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헷갈린 과학] 아프리카 초원의 육상선수 가젤 VS 임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가젤은 전속력으로 달릴 때의 속도가 시속 100km 정도로, 육상 동물들 중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정도로 빠르답니다. 가젤은 영양의 한 종류로 아프리카 대륙의 사바나 지역과 사막, 초원 등에서 볼 수 있어요. 주로 떼를 지어서 살고, 부드러운 나뭇잎을 즐겨 먹지요. 전세계적으로는 약 17종의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일본 방송사 NHK가 공동으로 무인 관측 장치를 개발 했어요. 이 장치는 엄지
손가락
한 마디 정도의 면적에 800kg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심해의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요. 이전에 가장 깊은 곳에서 심해어를 촬영한 나라는 중국이었어요. 올해 4월에 8152m 지점에서 물고기를 촬영했지요.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팔과 비슷하게 생긴 로봇팔 ●햅틱 장치로 오션원의 팔 움직임을 직접 조절할 수 있어요.
손가락
으로 움켜쥘 수 있게 생긴 햅틱 장치는 오션원이 물건을 움켜쥘 때 느끼는 힘까지 그대로 전달하거든요. 연구원들은 이 햅틱 장치로 오션원이 물건을 집어올리거나 땅을 파는 등의 일을 하도록 조종할 ...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해도 독감을 예방할 수 있는 패치형 독감 백신을 개발했어요. 패치형 독감 백신은 엄지
손가락
만 한 면적에 높이가 0.65mm인 미세 바늘 100개가 돋아 있는 모양이에요. 패치를 팔목에 붙인 뒤 20분이 지나면 바늘이 녹으며 안에 들어 있던 백신이 피부로 주입되는 원리지요. 패치의 미세 바늘은 설탕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마찰력 때문에
손가락
에 미세하게 균열이 생기는데, 이 균열을 통해 종이가 더 쉽게
손가락
안으로 파고든답니다. 균열이 생기면 파고드는 데 필요한 힘이 1/30로 줄어들지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튼튼한 건물부터 똑똑한 로봇까지! 종이의 놀라운 변신Part 1. 종이 기둥으로 건물을 ... ...
[가상인터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가 날지 못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손과 발에 발달 장애가 생겨요.
손가락
이나 발가락이 6개 이상으로 태어나는 다지증이나
손가락
이 오리발처럼 붙어 있는 합지증이 대표적인 예지요.과거 갈라파고스 가마우지는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서 날개와 가슴 골격이 제대로 성장하지 않게 된 거예요.날지 못해서 불편하지는 않니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보안 기능인 비밀자가 일일이 버튼을 누르거나 스크린 위로 그림을 그리거나 센서에
손가락
을 갖다 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아이폰 X은 카메라에 얼굴을 비추는 것만으로도 스마트폰이 알아서 사용자를 인식한다. 훨씬 빠르고 간편해졌다. 얼굴 인식률도 높다. 얼굴에 적외선을 쏘아 ... ...
Intro. 바라보면 잠금해제, 얼굴 신분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애플이 ‘아이폰X(텐)’에 ‘페이스ID’를 탑재했다. 비밀번호를 누를 필요도,
손가락
을 갖다대 지문을 인식시킬 필요도 없다. 카메라와 눈빛 교환 한 번에 스르륵 화면이 뜬다. 인식 오작동 확률은 100만 명 중 1명 꼴. 5만 번 중 1번인 터치ID보다 보안 기능이 강화됐다. 얼굴 인식이 새로운 기술은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진 상태에요.” 동 씨는 핀셋으로 개미를 네 마리쯤 집어 새끼
손가락
만한 튜브에 넣었다. 그는 “무리하게 채집하면 군체자체가 손상돼 복구가 불가능해진다”며 “흙 표면에서 일개미 몇 마리만 채집하고 끝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동 씨는 그마저도 연구 목적일 때만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