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아이템] 일상을 푸르게 스마트 아이템 '가드닝'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있어 키우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햇빛과 수분, 온도를 받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태양
열 충전을 지원해 배터리 방전 걱정도 없다. 스마트 센서 하나면 다시는 식물이 말라가는 불상사는 없을 것이다. 5 식물119플랜트 | 무료초보 가드너들을 위한 앱을 소개한다. 식물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 ...
회전력으로 만드는 전기, 적정기술 ‘나우라이트’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CEO)는 “160lm(루멘) 수준 빛도 제공할 수 있어 그래비티라이트보다 10배 정도 밝고
태양
광 패널을 이용해 추가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우라이트는 현재 파키스탄, 콩고 등 아프리카와 남아시아의 12개국에서 이용되며 에너지 취약 지역에서 빛을 밝히고 있다 ... ...
[과학 뉴스] 80여 년 만에 밝혀진 혜성 핵이 녹색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4호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였죠. 레너드 혜성은 7만 년 전
태양
계로 진입해, 이번에 지구와
태양
에 접근했다가 곡선 궤도를 그리며 다시 먼 우주로 나가는 중이랍니다 ... ...
[특집] 우주, 얼마나 넓을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그래서 사람들은 하늘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우주를 계산하기 시작했어요.
태양
이 언제 뜨고 언제 지는지, 달은 어떤 주기로 모양이 바뀌는지 하늘을 기록하며 계산했답니다. 사람들이 우주를 탐구할수록 우주가 수학 법칙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이 점점 드러났어요. 뉴턴은 지구의 중심에서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포착할 수 있다. 로트 교수는 “암흑물질은 은하 중심에 뭉쳐 있거나,
태양
에 흡수된 뒤
태양
중심에 뭉쳐 있을 것”이라며 “이런 곳에서 온 중성미자에 주목하면 암흑물질의 간접적 증거를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왜 하필 남극에 중성미자 관측소를 세웠을까. 로트 교수는 “고에너지 중성미자가 ... ...
[융복합@파트너] 지속 가능한
태양
광 해수 담수화 친환경 수자원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유일한 사례”라고 말했다. doi: 10.1016/j.desal.2021.115477 지속 가능한 미래 환경을 위해“
태양
광 해수 담수화 기술은 실증 연구가 가능한 단계까지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으로는 대기 중 수분 포집 기술연구의 중요성이 큽니다.”김 교수의 다음 목표는 바닷물마저도 이용할 수 없는 내륙 ... ...
[과학동아 x 쿤달] 제조기│우주에 없던 향을 만들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향기가 가장 적합해 보였다.곧이어 ‘창백한 푸른 점’이란 단어가 수면 위로 올라왔다.
태양
계 탐사를 떠난 보이저 1호가 지구로부터 약 60억 km 떨어진 명왕성 궤도에서 1990년 촬영한 지구 사진에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붙인 이름이다. 이 사진에 담긴 지구는 희미한 푸른 빛을 띠고 있었다.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의 숲속을 밝히는 횃불생강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새들을 유혹하기 위해서다. 특히 횃불생강의 꽃만큼 다채로운 색깔에 긴 부리를 가진
태양
새가 이 꽃을 좋아한다. 처음엔 꽃 뭉치가 불꽃 모양을 한 채로 굳게 닫혀 있다. 그러다가 아래쪽부터 층층이 포엽들이 열리기 시작한다. 포엽 안쪽에 노란색의 실제 꽃이 있는데 작아서 다소 존재감은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이공계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색채학 개론을 가르치고 있다. 수업 첫 시간에는
태양
광 스펙트럼 실험을 통해 가시광선의 정체를 탐구했던 아이작 뉴턴을 이야기한다. 이어 빛이 전자기파임을 예견했던 제임스 클라크 맥스웰 등 과학자들을 통해 현대 과학의 발전을 소개한다. 동시에 그들이 ... ...
[기획] 다지류 선조는 육지를 휩쓰셨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바다에서 육상으로 최초로 진출한 동물입니다. 고생대 초기의 육지는 수분이 부족하고
태양
에서 오는 자외선을 막아줄 오존층도 부족했어요. 하지만 다지류는 딱딱한 껍데기를 가지고 있어 육지의 가혹한 환경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어요. 이끼와 함께 물가에 첫 육상 생태계를 만든 다지류는 이후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