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택
윤
불빛
창고
라이트
광선
뉴스
"
광
"(으)로 총 54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물 속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꼼짝마’...KIST·서울대 ‘나노갭 전극’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21
없이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2018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
광
집게’ 기술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100nm 이하 크기의 입자를 대기나 물과 같은 유체 환경에서 포집·선별·정제·농축하는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KIST와 서울대 공동연구진은 센티미터 단위의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
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U S Army RDECOM/위키피디아 제공 퀀텀닷은 수㎚(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용어다. 1982년 러시아 과학자들이 처음 발견한 뒤 1993년 마크 캐스트너 ... 과학동아 6월호, [퀀텀닷 완전정복] 제5화 차세대 기술-돌돌 말고 몸에 붙이고 자체 발
광
퀀텀닷 ... ...
한전공대 초대 총장 후보에 윤의준 서울대 연구처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6.09
후보로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윤 처장은
광
전자소자 전문가로 국내 발
광
다이오드(LED) 분야 연구를 주도해 왔다.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AT&T 벨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1992년부터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 ...
메가시티형 바이오 혁신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0.06.04
섭리를 다시금 돌이켜 볼 때이다. 석현
광
KIST 의공학연구소장 ※필자소개 석현
광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장. 서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금속공학으로 석박사를 받았다. 영국 옥스퍼드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0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근무하고 ... ...
[팩트체크] 청색
광
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과학동아
l
2020.05.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18년 미국 톨레도대 연구팀은 청색
광
(블루라이트)이 망막세포를 변성시켜 시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습니다. 당시 ... 한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5월호,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청색
광
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 ... ...
늘어났다가 줄어들면서 빛 투과 조절하는
광
학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걸친 반복 구동 시험과 거친 변형에서도 내구성이 확인됐다”며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광
산란 현상 메커니즘도 해석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기존 창호 시스템 교체 없이도 간단한 얇은 필름 형태로 유리 표면에 붙여 투과율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로 ... ...
실내 온도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우' 생산비 40%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CVD)’ 등 기존 공정은 고온이 필요하고 시간도 오래 걸렸다. 연구팀은 제논 램프의
광
에너지로 표면만 굳히는 공정을 개발해 소결 시간을 1만분의 1로 줄이면서 제조비용도 40% 절감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윈도우는 불순물을 첨가해 적외선을 차단하는 기준 온도를 상온에 가까운 23도까지 ... ...
코로나19 UV소독·살균 터널 효과 검증 안됐다…가정용 락스 묽게 해 닦아야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몸에 바르거나 식기 소독용으로 사용하면 위험하다는 것이다. 공기를 소독한다는
광
고도 위험하다. 소독제 성분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농도라면 피부나 눈, 호흡기에도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지침은 “공기 중에 뿌리는 등 인체 노출 위험이 높은 소독방식은 권장하지 않는다”고 명시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5.09
역할을 했다면, 이번에는 직접 전류를 받아 원하는 색깔의 빛을 바로 내는 자발
광
퀀텀닷을 개발한 것이다. 더불어 이것을 디스플레이에 응용했을 때 충분히 안정적인 수명을 유지한다는 사실까지 입증했다. doi: 10.1038/s41586-019-1771-5 기존의 퀀텀닷 응용 소자가 빛을 흡수하는 퀀텀닷의 특성만 ... ...
[의학게시판] 서울성모병원, 간이식 면역조절 치료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추천한다고 22일 밝혔다. 자외선은 기미나 잡티와 같은 색소질환피부암,
광
노화,
광
과민 질환 등도 유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급성 뇌경색 발병 후 5년간 지출되는 의료비용이 급성기 치료결과에 따라 최대 5배까지 차이가 난다고 22일 밝혔다. 다기관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