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성대
뉴스
"
성균관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90% 충전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내다봤다.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강병우 교수 연구팀과
성균관
대 에너지과학과 윤원섭 교수팀이 이차전지를 전극 물질에서 충전하거나 방전할 때 입자 크기를 줄이지 않아도 획기적으로 충전과 방전 시간을 단축해 고출력을 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재료 분야 ... ...
QLED 디스플레이 난제 '청색광 퀀텀닷' 왜 만들기 어렵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청색광을 내는 소재는 오래 제성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도 난제로 꼽힌다. 배완기
성균관
대 나노공학부 교수는 “디스플레이가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하는 것도 청색 소자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효율과 안정성이 높은 청색광 퀀텀닷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 QLED ... ...
영화 아바타 속 '신비의 자원' 상온 초전도 사상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등장하면서 구현 온도가 영하 약 20도까지 올라오면서 돌파구가 열렸다. 박두선
성균관
대 물리학과 교수는 “기존에도 일부 상온 초전도 현상이 보고됐지만 대부분 신뢰성이 낮아 가짜과학 취급하는 분위기까지 있을 정도로 상온 초전도는 구현하기 어려운 주제였다”며 “하지만 점차 수소를 ... ...
[과학게시판]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의과학융합연구소 현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제도개선 추진단’을 14일 공식 출범하고 곧바로 활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경미
성균관
생활건강 고문을 단장으로 민간전문가 10명이 추진단 위원으로 위촉됐고, 위원별로 과제 하나를 전담해 앞으로 3개월간 총 9개의 제도개선과제를 중점 검토한다. 검토 결과는 올해 12월 종합 정책 제언 자료로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주입되는 속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정소희
성균관
대 에너지학과 교수는 “모든 산업이 친환경을 추구하고 있는 만큼 퀀텀닷 역시 기술적으로 어렵더라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 ...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견디지 못하고 빨리 닳으면서 다른 색의 LED에 비해 수명이 빠르게 줄어든다. 배완기
성균관
대 나노공학부 교수는 “LED 디스플레이가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하는 것은 청색 소자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청색광은 난이도가 가장 큰 대신 활용도도 높다.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자체가 없을 정도였는데 시간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배완기
성균관
대 나노공학과 교수는 “QLED 소재 개발이 학문적으로 많이 이뤄지는 가운데서도 청색 소재 개발이 부족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고효율 LED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양 교수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 수상도 준비를 해야
2020.10.14
욕심내기가 이르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노벨상이 최종 목표가 아니다 박남규
성균관
대 화학공학과 교수가 제자와 함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를 보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DB 클래리베이트의 ‘인용 수상자’(Citation Laureat)는 온전하게 학술논문의 피인용지수를 근거로 선정한다. ... ...
[CAETS 2020] "ICT 발전과 감염병 유행이 삶과 도시 바꿀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내다봤다. 이런 새로운 기술 흐름 변화는 도시 내 산업의 양상도 바꾸고 있다. 김도년
성균관
대 교수는 이날 패널토론에서 “과거에는 도시내 제조업 종사자의 비율이 10%대였지만 산업이 발전하면서 5%대로 줄어들었다”라며 “하지만 최근 디지털 제조 산업 전환으로 비중이 늘면서 서울의 생산 ... ...
[프리미엄 리포트]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사중나선
2020.10.09
받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0년부터
성균관
대 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Z형 DNA 등 이형핵산에 대한 연구를 20여 년간 수행하고 있다. kyeongkyu@skku.edu ※관련기사 과학동아 10월호,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